김창수의원, '기술보증기금 존치 주장'

기보존치 대덕구 1~4 산업단지 기업인 큰힘

2008-08-13     국회= 김거수 기자
자유선진당 김창수 (대전 대덕,)의원이 지난 11일, 12일 연이어 개최한 국회 공기업관련대책 특위에서 “기획재정부가 공개한 ‘공기업선진화 1차 계획안’이 실용정부의 실적주의에 입각한 졸속 행정의 결과”라고 총평가했다.

김 위원은 11일 기획재정부 강만수 장관이 참석한 제6차 특위회의에서 “부처간 협의도, 공기업선진화 사업의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의 산하에 있는 공기업선진화추진위원회도 소통이 원활하지도 않고, 운영상의 투명성도, 효율성도 보이지 않는다”며 “ 총체적인 시스템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강 장관에게 1970년대 성공적인 공기업 민영화를 일궈낸 영국의 대처 수상을 빗대, “공기업선진화 사업은 역사에 기록될 국민의 오래된 염원으로서 이를 위해 보다 많은 사회적 공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장관 등이 출석한 12일 회의에서 김위원은 주택공사와 토지공사 ‘先 혁신도시로 이전 後 통폐합’ 방침은 지역주민들의 반발을 일단 면하고 후일을 도모하겠다는 것에 불과하다고 총평하고, 일본에서 성공한바 있는 유사기관들의 통폐합사례를 벤치마킹하는 등 이들에 대해서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청했다. 

대전 대덕구가 지역구인 김위원은 1~4 산업단지에 입주한 많은 분들이 기술보증기금이 자본력 약한 중소기업에 큰 힘이 되어 왔고, 앞으로도 기대하고 있다는 지역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하며, 우리나라를 앞으로도 IT강국 이끌어갈 원동력 중 하나인 기술보증기금의 존치를 주장했다.

한편 대한광업진흥공사가 해외광물자원투자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보고를 받고 한․키르기즈스탄 교류협회장인 김 위원은 키르기즈스탄에 희토류라는 고부가가치 광물이 많다는 예를 들면서 민간 외교 창구와의 교류확대 역시 에너지 관련 공기업들의 선진화 방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의견을 전달했다. 

김의원은  공기업선진화를 위해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의정활동을 할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