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명기 빠져
가속기 설치 지역 역시 미정
2008-11-18 김거수 기자
이같은 반응은 대전시가 특별법 제정 후 최종 입지를 선정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을 재확인했기 때문이다.
정부 초안에 따르면 과학벨트는 핵심 연구기관인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ABSI)을 중심으로 구축할 계획이며 경제자유구역 수준의 특례가 보장되는 첨단산업단지 조성과 국내외 기업·연구소 유치 등을 통해 미래신산업을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또 외국인 출입국 편의 제공, 외국어서비스, 외국인학교, 병원 등 글로벌 환경 조성과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통해 연계지역을 벨트로 묶는다는 방침이다.
ABSI는 50개 연구팀 3000명으로 구성, 본원과 외부기관 비율을 50대 50으로 하며 연구팀당 연간 30억~100억원의 연구비를 총액으로 지원하는 파격적인 혜택을 부여한다.
이와 함께 대덕특구 출연연들과 기초·응용으로 연구기능을 이원화하기 위해 연구 분야는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의학생명, 융합 등 기초 분야로 한정했다.
면적은 확장성을 고려해 최소 2㎢ 이상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ABSI가 본격 운영되는 2013년 이후 연간 예산은 6500억원으로, 이는 정부의 기초원천 R&D예산의 11.4%에 해당하는 규모다.
거대과학연구시설인 가속기의 특구내 설치 여부 또한 타당성을 놓고 논란이 계속 되고 있다.
인수위는 ABSI의 국제적 위상을 조기에 확립하기 위해 세계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와 방사광가속기 건설을 제안했다. 하지만 정부가 포항공대 내 방사광가속기를 업그레이드키로 검토한 만큼 대전시는 대덕특구내 중이온가속기 설치가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표적집단조사(FGI), 토론회, 설문조사를 벌여 가속기 설치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한 데 이어, 2차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층 토론을 통해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재수렴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정부가 지난 5일부터 10일까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전문가, 국가R&D연구책임자 등 6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충북도가 오송에 설치를 주장하고 있는 방사광가속기 또는 대전 대덕특구내 중이온가속기의 건설이 매우 적절하거나 적절하다는 답변이 74%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