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신형 의원, '에코단지 조성' 주문

대전시 신재생에너지 개발로 ‘저탄소 녹색성장’ 사회 구축

2008-11-27     김거수 기자
대전시의회 조신형의원은  대전시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생존전략의 목표로 삼아 ‘그린시티 대전’ 이미지 구축에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행정에 임해야 한다면서 '에코단지 조성' 주문했다.

27일 열린 시정질문에서 조신형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환경이 화두가 된 지금,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지구 온난화 해소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며, “정부도 저탄소 녹색성장을 우리나라의 새로운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앞장서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조 의원은 “올해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해 경제회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원유와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한 국내 경제회복의 어려움, 화석연료의 과다사용에 따른 지구온난화의 심화 등 국내 경제회복에 유리한 여건은 하나도 없는 실정”이라며,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전시에서 배출돼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하수슬러지,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및 도시고형폐기물내 포함된 유기물질 등을 이용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한 후 이를 활용한 에코단지를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해 2006년 말 2.16%인 신재생에너지 보급율을 2011년 까지 5%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수력발전, 바이오에너지 사업 등을 발굴 보급하여, 2012년 까지 관련기업 100개 유치 및 5,000여명의 신규 고용 인력을 창출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대전시에서 발생되는 유기성폐기물을 활용,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경우 연간 19MW의 전력과 120분대의 자동차연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년간 33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절감해 약 80 억원의 소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할 경우 대전시의 생태환경도시로써의 이미지 제고는 물론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함으로서 대전시의 경제 활성화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