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대전·충남 충청권 명기 없어 아쉽다

교과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 확정

2009-01-13     김거수 기자
대통령 공약사항이자 충청권 최대 현안 사업 중에 하나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이 확정됐지만 충청권 명기는 어디에도 없었다.

13일 교과부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9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을 확정했다. 그러나 교과부는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조성할지 발표하지 않아 충청권 명시를 기대했던 대전·충남은 아쉽다는 반응이다.

이날 교과부는 아시아 지역을 대표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가칭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을 설립·육성키로 했다. 이를 위해 장기적으로 3000명 규모, 50개 연구단으로 기초과학연구원을 구성한다. 각 연구단은 해외 석학과 국내 우수 연구인력으로 구성하는 한편, 각 연구단에 연간 최대 100억원까지 연구비를 지원한다.

또 대형연구시설을 설치해 세계적 석학을 유치하고 새로운 연구분야 개척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대형연구시설로는 우선 우리나라에 없는 중이온가속기를 건설하고, 기초과학연구원의 인근에는 첨단비즈니스기반을 조성, 녹색산업 등 첨단지식산업과 국내외 연구소를 유치해 도시의 자족성을 높이기로 했다. 장기적으로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성과를 관리·이전하는 지적재산권전략센터를 설립하고, 기술지주회사 설립 등으로 발전시켜 과학비즈니스의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 예산은 모두 3조5487억원 가량 소요될 전망이다.

교과부는 올해 1월부터 관련 법률 제정을 추진하고, 상반기 내로 벨트 거점지구의 입지를 선정한 뒤 각 분야별 상세계획을 마련해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을 2012년말에 완공하고, 중이온 가속기는 2012년에 착공해 2015년에 완공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명기를 내심 바라고 있던 대전과 충남.북도는 아쉽다는 반응이다.

우선 대전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본 궤도에 올라 추진을 눈 앞에 두고 있는 점에 대해 환영을 나타냈다. 하지만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한 주변지역을 기초과학연구 거점지구로 지정해야 하며, 반드시 기존 대덕특구내 출연연과 연계해 기초과학연구원이 설립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중이온가속기의 설치는 시가 추진하고 있는 원자력의학융합연구원 설립과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에 입지가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아 아쉬움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올 상반기에 입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인 만큼, 대통령 공약사항과 충남의 우수한 여건을 적극 홍보해 충남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앞으로 충청권 3개 시도인 대전,충남·북은 국제과학비즈니스특별법 제정절차 이행시 반드시 충청권으로 입지가 명시되도록 공조체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