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재창조사업, 국책·민자로 본격 추진
박 시장, 압축개발 필수
2009-01-30 김거수 기자
박성효 대전시장은 29일 오전, 실·국장 등 간부들을 대상으로 엑스포재창조에 대한 기본 틀을 제시했다.
또 엑스포재창조 타당성용역을 맡은 디이파트너스㈜ 역시 이날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보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민간투자 분야의 PF(Project Financing) 사업 공모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기준을 정하기 위해 용역 착수에 나서기로 했다.
박 시장은 이날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한 HD드라마타운과 CT 연구센터, CS 파크 등의 부지와 뇌연구원 및 첨복단지 핵심시설 유치를 위한 유보지 등을 제외한 공간을 새로운 개념으로 재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시는 59만㎡ 중 HD드라마타운 등 첨단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23만㎡와 뇌연구원 등 첨복단지 핵심시설 유치를 위한 유보지 3만㎡를 뺀 33만㎡를 시와 민간, 금융이 별도의 프로젝트 법인을 설립해 추진하기로 했다.
단 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한 상징공간과 무역전시관 부지 및 스마트시티 내 일부 부지를 활용, 대전컨벤션센터의 전시 공간을 확충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키로 했다.
박 시장은 특히 "정해진 면적을 압축적으로 활용하고 친환경적 도시개발을 위해서는 압축개발이 필수적"이라며 "지하화·고층화 등을 통해 지상공간의 공원화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조에 맞춰 민간투자로 건립될 랜드마크 빌딩과 쇼핑·위락시설 등 전체 건물이 그린빌딩으로 지어질 수 있도록 지침과 기준을 마련하라"고 말했다.
곧이어 열린 엑스포재창조 타당성용역 착수보고회에서 박 시장은 "민간에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도록 시가 판단할 수 있는 기준도 함께 마련하라"고 용역사에 당부한 뒤 "공공분야에서 모를 수 있는 전혀 새로운 개념이 나오더라도 도시 기능면에서 비전이 보인다면 제도와 틀을 마련해서라도 지원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한편 이번 용역 수행기간은 150일이며, 시는 상반기 내 입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뇌연구원과 첨복단지 선정을 염두에 두면서 탄력적인 토지 활용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