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만 대전TP 원장, 수소센터 유치 '일등공신'
국회 수시 방문해 당위성 설명...창원 꺾고 '반전 드라마'
대전시는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 최종 사업자로 선정된 가운데 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TP) 원장이 유치를 이끈 일등공신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원센터가 대전에 유치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최 원장이 있었다. 실제 최 원장은 수시로 국회를 방문,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당위성을 설명하며 대전 유치를 외쳤다.
또한, 최 원장은 국회의원 및 산업부 관계자 등을 만나 대덕연구개발특구의 풍부한 연구 인력과 다수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갖춘 점을 부각시키는 등 설득력과 타당성 전략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때문에 그가 지원센터 유치 성공에 중추적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대전시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시는 지난 2016년부터 표준연 등 정부출연연과 협업 환경을 조성, 수소제품·소재·부품·기술 시험평가 기반을 마련하는 등의 노력으로 유치에 힘을 보탰다.
특히 이번 대전시의 사업자 선정은 수소 강세 도시인 경남 창원시를 꺾는 ‘반전 드라마'를 쓰며 의미가 더욱 깊다.
이날 복수의 충청권 국회의원 및 보좌관에 따르면 국회 내에선 공모 시작부터 경남(창원)이 유력하다는 설이 돌았다.
현재 창원시는 환경부가 선정한 기초지자체 유일 '수소차와 충전소 중점 보급도시'인 데다 최근 '수소 버스 시범도시'로 선정돼 내년부터 시내버스 노선에 수소 버스 추가를 앞두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이번 공모사업은 창원시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이나 다름없었다는 게 중론이다.
하지만 대전시는 지난 22일 광주와 울산, 경남(창원) 등 8개 지자체와 경합을 벌인 결과, 최종 사업자에 선정되는 쾌커를 이뤘다.
최수만 원장은 26일 <충청뉴스>와 전화통화에서 "이번 수소산업센터 사업은 시와 대덕특구의 실무진들 그리고 지역 국회의원들의 합작품”이라며 “빠른 시일내에 수소 전문가들을 대전에 섭외해 수소특별시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는 올해부터 2021년까지 4년간 총 210억 원이 투입돼 과학비즈니스벨트에 위치한 신동연구단지에 신설될 예정이다.
센터가 들어서면 수소 생산, 운송, 저장, 충전, 사용 등 수소 산업 전주기에 사용되는 제품 개발과 안전 시험 및 평가 기반을 갖추게 돼 국가 혁신성장 중심의 정책 기조와 맥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시는 향후 대전테크노파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표준과학연구원-한국기계연구원-한국가스기술공사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구축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