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국외 반출문화재 6개국 236건 449점
실태조사단, 도난 문화재 55건 1521점 등 1차 조사 결과 발표
충청남도 국외소재 문화재 실태조사단(조사단장 김연)은 12일 도의회에서 충남도 반출문화재 실태조사 1차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 조사단에 따르면 지난 6월 12일부터 6개월 간 국외에 반출된 문화재를 1차로 조사한 결과 일본, 미국, 영국, 중국, 프랑스, 독일에 236건 449점이 소재하고 있다.
이 중에는 일제강점기 가루베와 오구라가 수집해 간 유물의 일부가 포함됐다. 또한 부여 부소산 고분 등에서 출토한 ‘금동병, 금귀걸이’ 도 있다. 조사단은 향후 백제 시대에서 고려, 조선시대로 확대하고 위인들과 관련한 유물들 조사가 이뤄지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조사단에 따르면 국외 반출 문화재 중 백제유산의 대표작인 ‘반가사유상’은 일본에 5점, 프랑스에 1점이 있다.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는 반신(半身)의 반가사유상이 1점만이 있어 온전한 모습의 불상을 귀환하여 ‘백제인의 정신’을 구현하는 것은 시대적 사명이라는 의견이다.
이밖에도 1차로 문화재청에 등록된 도난 문화재를 조사한 결과 충남지역 55건 1521점이 도난당한 사실을 확인했다.
이 중에는 서산 개심사 ‘관경변상도’와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좌상’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문화재청의 자료는 1980년대 이후 사건을 위주로 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서산 부석사 철불 도난 사건이나 6,70년대 도난 사건 등은 추후 조사를 통해 확인하고 <충남도 도난 문화재 백서>발간을 통해 회수 방안 등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 조사단의 주장이다.
실태 조사단은 "부여 백제금동관음보살입상과 서산 고려 부석사금동관음상, 보원사 철불좌상과 반가사유상의 귀환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연 조사단장은 “내포역사박물관이 건립되면 「백제의 미소」 시리즈 완성 등 국내외에 산재한 문화유산이 한 자리에 전시됨으로 충남도민의 자긍심은 더욱 고취되고 미래세대의 가치 전승과 창달은 더욱 활발해 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