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농산물, 농식품 수출의 선봉”
농가소득 연계 신선 수출 확대, 향후 사회적 가치 제고 주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이병호)에 따르면 금년 신선농산물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11월말(잠정치 기준) 신선농산물 수출은 11.6억불로 전년 동기 대비 18.9% 증가하였으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3년도 11월말 수출실적 10.8억불 보다는 6.9% 증가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미국 등의 홍삼 수요 증가로 인삼류(169백만불, 23.5%)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고, 한국산 배 인지도 향상에 따른 베트남 수출 확대, 對홍콩 포도 수출 상승 등으로 과실류(278, 15.6) 수출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아세안지역 딸기 수출 증가 등으로 채소류(250, 7.5) 수출도 늘어났다.
주요 국가별로 보면 일본은 파프리카(6.0%)와 김치(24.3), 중국은 인삼(47.9)과 유자차(22.0), 미국은 배(16.1), 인삼(14.8) 수출이 크게 늘었다.
특히, 동남아지역은 한류 열풍과 이를 활용한 시장개척사업 추진으로 신선농산물 수출이 11월말 기준 전년 대비 43.5%나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한국산 딸기에 대한 높은 인지도로 싱가포르와 태국 등 중심으로 딸기(12.6%) 수출 성장세가 꾸준하고, 베트남의 가정용 중‧소과배 수요 증가 등으로 배(60.6%)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높은 당도로 한국산 포도 인기가 높아지면서 포도 수출(52.5%) 증가세도 두드러졌다.
aT에 따르면 이러한 성과는 아세안본부신설, 온라인 등 신유통망 개척 등 아세안시장을 제2위 수출시장으로 육성하는 신남방정책 추진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이같은 신선농산물 수출 증대 배경에는 aT가 금년 부터 수출지원사업 추진 방향을 신선 및 국산원료 비중이 높은 가공식품 위주 지원으로 수출지원사업을 개편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aT는 신선농산물 및 국산원료 사용 가공식품 우대지원제도를 도입했고,
신선농산물 품목별 수출통합조직 육성 및 NongZip 구축으로 수출용 농산물 안전성 강화, 품질관리, 수출창구 단일화를 추진했다.
또한, 한국 신선농산물 전문 판매점인 K-Fresh Zone을 태국 등 3개국 18개 매장으로 확대한 것도 수출확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사드 등으로 수출이 침체되었던 중국시장이 사드 여파에서 벗어난 것도 주목된다. aT에 따르면, 영유아식품 등 맞춤형 수출상품 집중 지원, O2O 매장 공략, 민간주도 사업모델 지원 등으로 대중국 수출증가율이 두자리수(13.5%)를 달성했다.
신현곤 식품수출이사는 ‶농가소득과 밀접한 신선농산물 수출이 크게 증대된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하며, ‶내년에도 신선농산물 수출증가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사업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