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김인식 의원 석면정책간담회 개최

석면오염지도와 시민건강 모니터링 제도 도입

2009-02-24     성재은 기자
대전시의회 김인식 의원(비례대표, 민주당)이 24일 오후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시민건강 보호를 위한 석면 관리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백도명 교수 등 3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정책간담회는 날로 불거지고 있는 석면 피해에 따른 대전시의 석면관리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김인식 의원은 “대전지역의 중피종 암등록비율(지역별 전체 암환자 등록자 중 중피종 환자)과 중피종 사망률(지역별 사망자 중 중피종 사망자)이 전국에서 제일 높은 지역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대전 중구지역의 석면피해는 과거 석면관련 공장으로 인한 영향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며 “1970년부터 1996년까지 중구 태평동 일대에서 스레트 및 석면관련 건축자재를 생산한 벽산공장과 쌍용 시멘트 공장이 그 대상임”을 밝혔다.

백도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대전 중구의 경우 중피종 사망자수가 4명으로 위험도가 매우 높은 지역” 이라며 “교과부, 복지부 등 여러 부처에서 대안을 제시해야 되어야 한다” 고 말했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생태도시국장은 “석면 오염실태 조사에 실제 공장부지 토양, 지하수조사는 빠져 있다”고 지적하고 “지역에 오래 거주한 주민을 대상으로 기초적 탐문 실시 후 정확하게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윤식 환경정책과장은 “우리시는 석면 피해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구 벽산공장을 중심으로 반경 500m 이내 5개 지점에 대해 대기오염조사를 1차 조사완료”했으며 “재건축.재개발 현장 석면 관리 실태조사 및 석면위해성 홍보, 관계 공무원 폐석면 적정처리 대책회의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정책간담회에 참석한 관계자 모두 중앙부처 관련기관인 환경부와 노동부, 대전광역시 관련부서와 함께 석면관리와 개선방안에 대해 일관된 종합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또 대전지역 석면오염 조사를 통해 석면오염지도 작성, 뉴타운 재개발·재건축 사업지구에 석면감시체계 도입과 시민건강을 위한 건강모니터링 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