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후보지 선정

자원순환시설 효율적 집적화,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본격 시동

2009-03-05     김거수 기자
경제 살리기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시대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사업인 폐자원과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화 선도 도시가 대전이 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5일 국가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대책의 실천사업으로 환경부에서 중점 추진하고 있는 '권역별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사업의 주체로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가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사업은 신·재생에너지의 약 76%를 차지하고 있는 폐기물에너지를 최대한 활용을 위해 화석연료를 대체해 나갈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의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꼽히고 있다.

전국 8개 권역에 14개의 종합타운을 조성할 계획으로 우선 2009년도에는 시를 포함한 6개 권역에 대한 입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실시하게 된다.

시가 이번 타당성 조사 대상지로 선정된 것은 그간 줄 곧 시에서 구상해 온 자원순환시설(폐기물처리시설) 집적화 조성계획과 맞물려 국가지원을 통한 사업 추진의 탄력을 받기 위한 노력에서 기인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시는 폐기물처리 시설 간 상호 연계성 강화와 경제적 효율성 증대를 최우선 목표로 정하고, 이미 국비가 확보돼 추진 중에 있는 고형연료화 시설인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RDF) 생산'을 시작한다.

또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 RDF전용 보일러 등 폐기물 에너지화를 위한 최적의 처리시설을 금고동 매립장내에 2015년까지 집적화하는 방안으로 환경에너지 종합타운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이 완료되면 그동안 단순 매립 처리해 왔던 가연성 생활폐기물을 고형연료화 하고, 음식물류폐기물을 바이오가스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로 활용하는 등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으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경제적 측면에서는 매립장 사용기간을 연장, 년간 약 24억원을 절감하게 되고, 고유가시대 발전연료 등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원유대체효과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향후 청정개발체제(CDM) 사업 추진 시 탄소배출권 수익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환경적 측면으로 매립장 침출수 감소와 UN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온실가스(CO2) 감축 의무 이행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