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학부모 2명 중 1명, ‘공립 대안학교 설립’ 희망
“대학입시에 불리해도, 자녀가 원하면 대안학교 보내겠다”
2009-06-29 대전학부모연대 정 기 현
대전학부모연대(대표 정기현)는 지난 5월 20일부터 6월 10일까지 대전지역 초중고 학부모 5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안교육에 대한 학부모 설문조사’에서 “대전지역 학부모들이 대안교육에 대한 욕구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29일 발표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전지역 학부모들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안학교에 대해 “현 제도권 교육의 문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생겨날 수밖에 없다”(52.8%)고 생각하며, “대학입시보다 창의성을 우선시하는 학교”(53.2%), “학교부적응 학생이 가는 곳만은 아니다”(47.8%)는 생각과 “대학입시에는 불리”(40%)하더라도, “자녀가 원하면 보내겠다”(37.2%)고 응답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녀가 원하더라도 보내지 않겠다”는 응답은 28.6%에 불과했다.
또, “현재의 대안학교는 교육비가 비싸서 보내기 힘들다”(51.1%)며, “가깝고 저렴한 대안학교가 있으면 자녀를 보내겠다”(47.7%)고 더 많은 학부모가 기대하고 있으며, “교육청과 시청이 나서서 공립 대안학교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데 47.9%가 응답해, 학부모 2명중 1명은 대전지역에 대안교육에 대한 요구가 있음이 확인됐다.
특히, 대전지역의 초·중·고 학부모들은 현 정부 교육정책에 대해서 ▲대학등록금 정책 잘하고 있지 않다(73.5%) ▲사교육비 절감정책 잘하고 있지 않다(65.8%) ▲자율형 사립고 확대정책 바람직하지 않다(53.9%) ▲영어몰입교육 잘못됐다(51.6%) ▲일제고사, 수능성적 공개는 바람직하지 않다(50.5%) 등 각종 교육정책에 대해 과반수 이상이 부정적으로 평가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교과과정 20% 범위 내에서의 학교에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도록 한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 대해서도 “시범실시면 찬성”(38.8%)하거나 “입시경쟁 심화 우려해 반대”(31.9%) 등 70.7%가 ‘전면실시’에 반대했으며, ‘교과과정 선택권 부여’도 학생(학부모)(48.6%)≫교사(20.7%)≫학교장(15.3%) 순으로 답해 학교장에게 권한을 주는 정부의 방식에 반대했다.
사교육 이유로는 초등 ‘적성계발’, 중고 ‘선행학습’
한편, ‘사교육을 시키는 이유’로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이 ‘적성과 소질계발’(44.6%)≫‘남들이 하니까 심리적으로 불안해서(19.1%) 순으로 응답했고, 중학교 학부모는 ’선행학습을 위해‘(29.2%)≫’학교수업을 따라가기 위해’(26.3%) 순으로 응답했으며, 고등학교 학부모들은 ‘선행학습을 위해’(30.1%)≫‘적성과 소질 계발’(27.6%) 등의 순으로 응답해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선행학습을 위해’ 사교육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학업과 진로 상담은 주로 “가정에서 부모”와 상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학원(과외)선생님(13.1%)≫학교선생님(12.5%) 순으로 응답해, 학교선생님과의 상담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돼 학교선생님의 적극적인 상담 활동이 요청된다. 고등학교 학부모들은 자녀가 학원(과외)선생님(14.0%) 보다 학교선생님(18.9%)과 상담을 더 많이 한다고 응답했다.
대전학부모연대 정기현 대표는 “대전지역 학부모는 대학입시 경쟁을 가중시키는 현 정부의 학교 자율화·다양화 정책 보다, 창의성을 우선시 하는 대안교육에 대한 희망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제 대전에서도 고비용 저효율의 획일적인 대학입시 경쟁교육 대신, 혁신학교 또는 공립 대안학교 설립을 검토해야 할 때” 라고 말했다.
또, 대전학부모연대는 “대안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희망을 교육 의제화 하여 각종 토론회 등을 통해 공론화를 해나가는 동시에, 내년도 지방선거에 중점 의제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