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암유전체 연구 위한 초석 다졌다
글로벌 암유전체 아시아 지역 데이터센터 유치 (ICGC-ARGO RDPC) MoU 체결 국립암센터, 서울대학교와 유전체 데이터 처리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 구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이 글로벌 암유전체 연구를 위한 초석을 다졌다.
KISTI는 지난 28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대학에서 개최된 제2회 국제암유전체컨소시엄(이하 ICGC)-ARGO 워크숍에서 국립암센터, 서울대학교와 함께 ICGC-ARGO 지역데이터센터(Regional Data Processing Center, 이하RDPC)를 한국에 유치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RDPC는 ARGO 프로젝트 참여국에서 생산된 유전체 데이터 수집(원천데이터) 및 원천데이터를 재가공 하여 검증하고 중앙데이터 센터(Data Coordination Center)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DPC를 한국에 공동으로 유치한 KISTI, 국립암센터, 서울대학교는 연간 최대 1만 건의 유전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한국과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 유전체 데이터를 처리할 계획이다.
이번 RDPC 유치를 통해 국내에서 생산된 암유전체 데이터와 더불어 5천억 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 글로벌 임상 암유전체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암유전체 데이터 공유·분석 환경(RDPC)을 통해 국내 암유전체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KISTI는 CERN 최상위데이터센터(Tier-1)에 이어 유전체 데이터센터를 유치함에 따라 아시아 지역 대표적인 글로벌 대용량실험데이터허브(GSDC)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KISTI 최희윤 원장은 “KISTI, 국립암센터, 서울대학교가 각각 가지고 있는 전문성을 모아 RDPC를 성공적으로 유치해 국내 연구진의 성공적인 협업사례를 제시했다”며 “암유전체분야의 글로벌기여와 함께 국내연구진의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생명의료 분야 데이터집약형 연구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