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정 ‘日 백색국가 제외’ 대책 마련 부심

대전시·경제5단체 합동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 "관내 기업피해 최소화 방안 마련해야"

2019-08-02     김용우 기자

허태정 대전시장이 2일 일본정부가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자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대전시

허 시장은 이날 오후 대전시·경제5단체 합동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관내 지역기업 피해 지원방안 및 대응책 마련을 논의했다. 백색국가 제외가 대전 산업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예측하기 어려워 다소간의 혼란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대일 수입액은 4.1억 달러로 액정디바이스, 자동제어기기 등 중간재가 주를 이루고 있고 대체가능한 수입선이 확인되지 않아 정확한 피해를 추산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최근 시 주관 실무회의 결과에 따르면 3/4분기는 재고를 통해 견딜 수 있으나 4/4분기부터 본격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자체 차원에서의 뾰족한 수는 없지만 관내 지역기업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행정부시장 주재,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피해상황 점검 및 대응팀'을 구성해 주 1회 정례적으로 점검키로 했다. 단, 필요시 수시 개최한다.

또 관내 경제5단체 회원사의 협조 받아 '피해기업 전수조사 실시'를 통한 손실규모 등을 파악하여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며 개별기업을 대상으로 ‘상시 피해접수 창구’를 운영한다.

이외에도 피해기업 대상 ‘구매조건 생산자금’ 50억원 특별 배정, ‘대전시 경영안정 자금’ 500억원 지원, ‘중소기업 지방세 세제’ 지원, 관련 부품소재 R&D 지원책 마련 및 국산화 연구개발 지원(37억원)에 나설 계획이다.

대전시·경제5단체

허 시장은 “이번 일본 각의결정으로 인한 지역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이번기회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수입선 다변화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소재 산업육성을 통해 일본으로부터의 기술독립을 이루어 낼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긴급 점검회의에는 허 시장을 비롯해 유세종 일자리경제국장, 문창용 과학산업국장, 대전상공회의소,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융합대전충남연합회,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한국무역협회대전충남지회 등 5곳의 단체장과 대전경제통상진흥원, 대전테크노파크, 대전신용보증재단,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등 4곳의 출연기관장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