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효 시장 저서 '무지개 프로젝트'출판
살기 좋은 동네 만드는 도시재생이야기
박성효 대전시장이 민선 4기 임기 중 심혈을 기울여 추진해 전국적인 관심사로 부각된 달동네를 살기 좋은 동네로 만든 이야기를 책으로 엮은 저서 '무지개 프로젝트' (도서출판 행복한 종, 종문화사)를 출간해 화제가 되고 있다.
박 시장은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후 7월 1일 취임해 ‘선택과 집중’ 방식을 통해 달동네를 비롯한 영구 임대아파트 지역 등 취약지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개념의 복지시책을 발표하고 역점적으로 추진했다.
박 시장은 빈곤층이 밀집된 지역에 드리워진 침체의 그늘에 희망을 싹틔우고, 심화되고 있는 사회적 양극화를 줄이겠다는 막중한 소명의식 속에 '무지개 프로젝트' 구상, 실행에 옮겼다.
무지개 프로젝트는 박 시장이 취임한 뒤 실시한 빈곤지역 도시재생사업인데, 저소득층이 밀집된 낙후지역을 선택해 일상생활과 연관돼 있는 모든 분야에 대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무지개 프로젝트는 2007년부터 대전시 8개 동을 선택해 정주환경, 교육환경 등 4개 부문에 걸쳐 집중적인 지원과 사업을 펼쳤다.
그 결과 그동안 좌절감과 패배의식에 젖어 살던 주민들이 스스로 동네 가꾸기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고, 1대 1 가정교사 역할을 하는 공무원 튜터제도 시행했다.
무지개 프로젝트가 시행된지 3년이 경과된 현상황에서 이 제도는 주민들과 지역 지도자, 공무원이 일심동체가 돼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고, 각종 상을 휩쓸고 전국 지자체에서 벤치마킹하려는 발길이 봇물을 이루는 등 전국적인 관심사가 됐다.
박성효 시장은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던 것도 주민들의 역량이 그만큼 강화됐기 때문"이라며 "행정은 자기가 건너가기 위해서가 아니라 뒷사람을 위해 다리를 놓는 작업이다. 무지개 프로젝트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이 희망과 꿈을 가지고 함께 어울려 가는 사회를 지향하는 사업이다. 전국 각지에서 벤치마킹에 대한 문의와 방문이 이어져 책을 펴내게 됐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어 "무지개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만났던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메모한 것이 원고가 완성되는데 도움이 됐다. 이책이 복지행정 일선에서 땀을 흘리는 공무원들이나 관계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박 시장은 이 책에서 자신의 행정철학과 함께 지역별 무지개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과 성과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박 시장은 저서로는 '다리를 놓는 사람' 이 있다.례
들어가는 글.5
추천사1~3.10
part1_ 무지개를 찾아서
무지개를 찾는 꿈.23
인간에 대한 애정과 봉사.23
입장 바꿔놓고 생각하기.26
우리 모두의 천국을 만들자.29
서민과 실용의 희망기획.33
서민과의 나눔과 소통.33
장애는 또 다른 능력의 시작.37
노인이 행복하게 사는 도시 대전.41
특수계층에 대한 배려.46
금융 소외자들을 위한 무지개론.48
무지개 프로젝트의 배경.53
또 어디로 가서 살아야 하나.53
도시 재개발 사업의 현주소.56
‘깨진 유리창 이론’과 명품 도시.59
part2_ 무지개 프로젝트의 비전과 일곱 색깔 전략
함께 어울려 사는 건강한 삶터로서의 동네.67
따뜻한 도시재생.67
동네 거버넌스를 통한 공동체 회복.69
일곱 색깔 무지개 전략.72
빨강: 사랑과 열정으로.74
사랑이 없으면 울리는 꽹과리가 되고..74
주황: 선택과 집중.78
‘올코트 프레싱’.78
노랑: 관심과 배려의 정책.82
오래 가려면 이웃과 함께 가라.82
녹색: 환경개선을 통한 치유와 회복.85
꽃나무로 가꾸는 무지개 마을.85
파랑: 전문가의 도움.88
마을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전문가들의 역할.88
남색: 공무원이 앞장서는 섬김의 행정.91
공무원 튜터의 보람.92
보라: 자원봉사와 공동체문화 키우기.96
자원봉사는 진정한 웰빙의 시작.96
특수계층의 아름다운 만남.99
part3_ 무지개가 뜨는 마을들
무지개 프로젝트의 현장.105
이방인들이 사는 도심 속의 섬.105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108
| 판암동 |.111
슬럼가로 변한 판암동.111
희망 없는 인생의 비애.113
격리감 느끼는 주민들.115
무지개 프로젝트 1단계 추진 방향.117
살기 좋은 동네가꾸기 사업.119
희망을 쏘아올린 행복 전도사.121
가슴으로 다가가는 주민 행정.123
연극‘무지개 마을의 행복’.127
주민들이 주인공이 되다.130
기초생활수급자의 불우이웃돕기 성금.133
시각장애인이 부는 희망의 오카리나.136
교육 여건 개선.139
공부방 아이들이 달라졌어요.143
교사들의 열성과 보람.145
새우잠을 자더라도 고래 꿈을 꾼다.147
주민들을 위한 요리 강좌.149
장애우들과 함께 사는 동네.151
행복충전소.154
자원봉사자의 따뜻한 경험.159
봉사의 참의미 깨달아.161
마을신문 주민기자들의 맹활약.162
취약계층을 배려하는 사회.168
| 월평2동 |.171
민영아파트에 둘러싸인‘외로운 섬’.171
저소득층의 인위적 집중화.173
‘여기서 계속 눌러 사는 것은 아닌가’.174
공공미술 활용.177
작은 나눔으로 행복한 벼룩시장.180
쥐꼬리 월급이라도 일터가 있어 좋아요.183
장애인 공동작엽장.185
담장 허물어 마음의 문을 열다.187
| 법동 |.190
‘나도 한 때는 잘 나갔는데…’.190
무지개를 위한 주민 자조 모임.194
자원봉사는 인간적 소통의 수단.197
사람 사는 동네가 됐다.200
청소년들의 기를 살려라.205
새터민이 바라본 무지개.209
| 대동 |.212
행복의 조건.212
한 사람의 주민도 몰아내지 않는다.215
주민들의 불안감.218
재개발 되면 오갈 데 없어요.220
주민이 참여하는 무지개 마을가꾸기.223
행복나눔 무지개 푸드마켓.226
자원봉사의 활성화.228
무지개 튜터 선생님.230
| 부사동.문창동 |.232
용기와 희망을 버릴 수 없다.233
주민을 위한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235
주민 요구 수렴 공청회.237
part4_ 무지개 프로젝트를 넘어
무지개 프로젝트의 성과.243
피부로 느끼는 주거환경의 변화.243
빈곤의 대물림을 끊어 줘야.245
자활복지와 지역공동체 복원.247
무지개 프로젝트의 확대.250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전략.250
대전을 넘어 세계로 퍼지는 무지개 프로젝트.252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는 희망 모델.255
참고자료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