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택시업계 종합대책 발표
다음달까지 법인택시 2000대·개인택시 500대 브랜드 택시로
대전시가 택시 수요 감소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택시업계를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대전시는 29일 시민·택시운수종사자·사업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택시업계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 내년까지 25억원을 투입해 대전 전체 택시의 고급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다음달까지 법인택시 2000대·개인택시 500대를 추가로 브랜드 택시로 지정, 12월부터는 최대 4100대의 브랜드택시가 운행된다.
또 내년에는 택시 전체에 카드결제기 등 고급화 장비를 서울보다 먼저 100% 설치, 시민들이 택시요금을 편리하게 지불토록 할 방침이다. 따라서 그동안 택시에 카드결제기가 없어 승객이 승차를 거부하는 일이 완전히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택시카드 결제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택시 콜 수수료와 카드 수수료 인하도 함께 추진된다.
현재 콜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브랜드택시 외에도 동일한 서비스를 하고 있는 일반 콜택시 1700여대도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1대당 1만 2000원의 콜 수수료를 시가 지원한다.
더불어 한국스마트카드에서 받는 카드 수수료 3.5%를 연차적으로 인하, 시내버스 수준인 2.0%까지 끌어내린 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국스마트카드와 협상 중이며, 앞으로 16개 신용카드사와 재계약시 2.0%로 인하토록 적극적으로 대처할 계획이다.
또 개인택시를 장애인 전용 콜택시로 운영, 사실상 감차 효과로 이어지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장애인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하고, 과잉 공급된 택시 감차효과를 위해 전국최초로 개인택시 20대를 전일 임차, 다음달 2일부터 2개월간 장애인에 배차키로 했다.
이 기간 장단점을 분석 후 내년에는 개인택시 20대, 승합차량 5대를 추가로 확대 운영한다. 아울러 예약상황을 실시간을 알 수 있도록 장애인 전용콜렉시 홈페이지(사랑나눔콜)를 구축, 다음달 1일 개통한다.
개인택시 증차 억제는 물론 감차도 계획에 올랐다. 국토해양부가 내년 상반기 발주하는 택시총량산정 용역결과에 따라 초과 공급분이 있으면 국토부 지원을 받아 감차 보상을 추진한다.
2007년 택시총량 용역 결과 대전시에는 440대의 초과 공급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개인택시 신규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법인택시 운전자 중 15년 이상 무사고 운전자 220명 이상에 대한 신규 면허 발급이 억제돼 왔다.
이와 함께 시는 택시이용 활성화를 위한 영상기록장치(차량용 블랙박스) 설치를 위해 5억 7700만원을 지원하고, 택시경영기반 구축을 위한 택시공동차고지를 조성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