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소아당뇨 현황 파악도 못해"

대전시의회 손희역 의원, 보건복지국 행감서 집중 추궁

2019-11-11     김용우 기자

대전시 행정당국의 소아당뇨 부실 관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대전시의회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손희역 의원은 11일 대전시 보건복지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소아당뇨 문제를 집중 추궁했다.

손 의원에 따르면 소아당뇨 1형 환자에 대한 대전시 차원의 관리 및 도움은 고사하고, 실태파악조차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손 의원은 "후천성 질병인 소아당뇨 1형에 대해 유성구청과 서구청은 관리하고 있는 반면, 상급 기관인 대전시에선 자료파악 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손 의원은 소아당뇨를 겪는 환자들이 학교 화장실에서 숨어서 스스로 인슐린 주사를 놓는 현실을 폭로했다.

친구들에게 보이기 창피하다는 생각으로 아파도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세균이 상대적으로 많은 화장실에서 아이들이 직접 자가 치료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손 의원에 따르면 어린이집에서는 간호조무사가 인슐린 주사를 놓아줄 수 있지만, 유치원과 일선 초중등학교에선 법·제도적 한계로 인해 소아당뇨 환자들이 양호교사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현실이다.

이에 인근 충남도에서는 아이들이 스스로 주사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등 최대한 편의를 돕고 있지만 대전에서는 이 마저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손 의원의 지적이다.

손 의원은 “초등학생이 비위생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몸에 인슐린 주사를 놓아가며 학교를 다니는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며 “시 차원에서 이 아이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손 의원은 “대전의 인구가 준다고 하는데, 아이들의 건강을 어른들이 보호해 주는 일부터 해야 한다”며 “아이들 문제만큼은 우리 시가 뒤떨어진다는 소리를 들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이강혁 시 보건복지국장은 “대안까지 주셔서 감사하다”며 “실태파악을 먼저하고 교육청, 협회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시 차원의 지원방안을 고민하고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