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산동 주민만 대전시민인가”...‘센트럴파크’ 형평성 논란
이종호 시의원 복환위 행감서 '원도심 균형발전' 역행 지적 "당초 2000억→미정" 집행부 사업비 모호성 추궁 집행부 "380억 사업규모 설정...원도심 녹지공간 확충할 것" 약속 지난달 국감서도 형평성 지적 잇따라
허태정 대전시장의 핵심공약인 ‘둔산 센트럴파크’ 조성 사업을 둘러싸고 형평성 논란이 제기됐다.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이종호(민주·동구2) 위원장은 12일 시 환경녹지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동구와 중구, 대덕구 등 원도심에는 제대로된 공원이 없는데 시장 공약사항으로 추진 중인 둔산 센트럴파크는 재원 규모로만 봤을 때 과하게 형평성을 잃은 것 아니냐”고 포문을 열었다.
현재 서구 둔산 인근지역에는 3·8의거둔지미공원, 보라매공원, 샘머리공원 등 가뜩이나 공원녹지가 풍부한 상황에서 둔산 센트럴파크 사업에 시민 혈세를 투입하는 것은 대전시가 '원도심을 대놓고 외면하는 꼴'이란 지적이다.
사업비의 모호성도 꼬집었다. 이 위원장은 “당초 2000억 원이 투입될 것이란 센트럴파크 사업비가 언젠가부터는 미정”이라면서 “시에서 명확한 사업비를 밝히지도 못하면서 사업을 추진하는 데 의구심이 들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특히 이 위원장은 “원도심은 지속적으로 소외당해 결국 구도심으로 인구유출이 계속 일어난다. 청년들과 신혼부부들이 살 수 없는 지역으로 전락하고 있다”면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공원을 확충해야할 필요가 있고 시에서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 위원장은 센트럴파크 사업의 명확한 소요 예산 산출, '대전 센트럴파크'로 명칭 변경, 5개 자치구 동일 비율 여론조사 실시 등의 대안을 제시하면서 시민 눈높이에 맞는 사업추진을 당부했다.
이에 손철웅 시 환경녹지국장은 “공약 정비 과정에서 시민들에게 사업규모를 제시했을 때 미정으로 했던 부분"이라며 "당초 총 사업비는 2000억 규모였지만 2차 용역 보고 때 제시됐던 380억으로 사업 규모가 설정됐다. 수천억이 소요된다는 일각의 우려는 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시에서는 공원녹지계획 2030을 통해 원도심 지역의 녹지공간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많이 해왔다"며 "원도심에 대한 녹지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체감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우겠다"고 약속했다.
둔산 센트럴파크 사업의 형평성 지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달 열린 국토교통위의 대전시 국정감사에서도 충청권 의원들의 먹잇감이 됐다.
당시 이은권 의원(한국·대전 중구)은 "대전은 원도심과 신도심 간 불균형 문제가 심각하다. 발전한 둔산에 큰 예산을 투입하는 것을 원도심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겠냐"면서 "공원 조성 후 관리에 투입되는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이는 시민들에게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덕흠 의원(한국·충북 보은·옥천·영동·괴산) 역시 "대전시가 공원이 많은 둔산동에 예산을 들여 센트럴파크를 추진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한편 센트럴파크 조성사업은 2028년까지 380억원을 투입해 보라매공원과 둔산대공원, 샘머리공원, 갈마근린공원 등 서로 단절된 공원들을 연결해 거대한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는 향후 시민과 함께 해답을 찾는 현장워크숍, 찾아가는 설명회, 리빙랩 등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기본계획 용역에 반영해 내년 1월 최종 보고를 거쳐 내년 2월 용역을 완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