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교육청, 제2특수학교 2022년 개교 한다

전국최초, 학생 눈높이 ‘심리안정실’ 등 특수학교 공간 혁신 적용 ‘유-초-중-고+전공과(제조서비스업)’, 학교 급별 교육과정 특화 4-2생활권 대학 부지 인접 위치, 연면적 12,765㎡ 규모 총 사업비 417억 원

2019-11-19     최형순 기자

세종시는 도시 성장으로 인구 유입이 지속되면서 특수교육대상학생도 매년 평균 90명 이상씩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3년 후인 2022년에는 1,000명에 근접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브리핑하는

이 같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꾸준한 증가와 도시 규모에 비해 부족한 학교는 장시간 통학 불편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어, 특수교육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제2특수학교 설립이 필요하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9일 브리핑을 통해 "2022년 9월 개교 예정인 제2특수학교 설립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전국최초로 학생의 관점에서 다양한 학습과 휴식 기능이 가능하도록 세종시교육청이 중점 추진 중인 공간 혁신을 적용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 생활기능을 중심으로 유·초·중·고와 전공과 등 각 과정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다"고 말했다.

제2 특수 학교는  금남면 집현리  14,355㎡에 총 사업비는 417억 원이 투입되며, 학구는 동 지역 3·4·5생활권과 조치원읍 그리고 전동·연동·부강·금남의 4개 면이 소속될 예정이다.

특수학교

설계단계부터 건축 전문가와 학생, 교사, 학부모 등 교육공동체가 함께 참여해 장애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공간을 조성하고,

유·초·중·고에 전공과를 더한 특성화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발달 단계별 균형 있는 특수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대학과 공공기관 등 유관기관들과 연계해 지역사회와 협력 상생하는 특수학교 사회 통합 모델을 제시하고,

원활한 학교 설립을 위해 특수교육팀 내에 TF팀을 설치하고 전담인력을 연차적으로 증원 배치할 계획이다.

그리고, 장애 유형에 따른 재활활동은 물론 진로탐색과 직업교육이 가능하도록 재활 훈련실과 진로직업실 등을 확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