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온 안철수 "정부, AI전문가 10만 양성 나서야"
KAIST 인공지능 대학원 관계자 만나... 투명한 정부 건설 의지도 내비쳐
바른미래당 안철수 전 의원은 23일 대전을 찾아 4차산업혁명이 정착된 미래 사회에 대한 구상을 제시했다.
안 전 의원은 이날 KAIST를 방문한 자리에서 블록체인에 기반한 투명한 정부 운영,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를 활용한 생활 방식 변화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우선 안 전 의원은 ‘스타트업의 핫플레이스’로 꼽히는 에스토니아의 정부혁신 사례를 예로 들며 ‘투명한 정부’의 당위성을 설파했다.
그는 미국에서 밝힌 국가대개조 구상에 대한 질문을 받고 “에스토니아를 갔었는데 블록체인을 이용해 아주 투명한 정부를 만들었다”며 “정부가 투명하니 국민이 신뢰하고 정책에 대한 호응도가 굉장히 높은 모습을 봤다”고 했다.
이어 안 전 의원은 “정부개혁 과제 중 한가지는 투명성을 엄청나게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뒷거래가 없게하는 그런것들이 사회를 굉장히 많이 바꿀 것”이라고 했다.
안 전 의원은 ‘AI 전문가 10만 양성설’을 주장하며, 이를 통해 엄청난 삶의 질 제고가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의 한 기업에서 양성하는 AI전문가 수가 한국 전체보다 200배 이상 많다는 점을 언급한 뒤, “열심히 투자해 4차산업혁명 시대 인재 10만 명 양성 등의 방향을 정부가 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 전 의원은 AI의 역할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안전에 관심이 많다”고 전제한 뒤 “사람이 모니터링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AI를 적용하면) 안전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했다.
또 안 전 의원은 “농업에서는 빅데이터를 모아 한달 뒤 어떤 병충해가 많아질 지 예측할 수 있다”며 “병충해가 생긴 뒤 없애느라 쓰는 비용에 비해 피해도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라고,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의 높은 활용도를 설명했다.
한편 안 전 의원은 이날 KAIST 인공지능(AI)대학원에서 정송 대학원장 등과 만나, AI에 관한 다양한 대화를 나눴다.
안 전 의원은 대화 후 기자들과 만나 “대한민국의 나아갈 방향을 말하는 게 의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호소하고 총선에서 더 많은 분을 만나 제 마음이 전해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향후 행보에 대한 구상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