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폐렴 수용시설 논란 '충청 핫바지론' 불붙이나

대전시 일방적 수용시설 지정 규탄 목소리 아산선 트렉터 바리케이트도 등장... 총선 앞 충청민심 이반 가능성

2020-01-29     최형순 기자

21대 총선 앞 충청 민심이 심상치 않다. 정부의 일방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우한폐렴) 수용시설 지정 추진에 따른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우한폐렴 수용시설 지정 문제는 충청인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로 받아들여진다는 점에서, 총선 앞 ‘충청 핫바지론의 추억’을 되살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의 우한폐렴 수용시설 지정을 둘러싼 충청권의 반발은 대전, 충남 각 지자체에서 동시다발로 전개되고 있다.

코로나

29일 대전 중구에 지역구를 둔 자유한국당 이은권 의원은 대전시가 중구 침산동 청소년 수련마을을 우한폐렴 확산 대비 수용시설로 지정한 것에 대한 철회를 강력 촉구했다. 주민 동의를 구하지 않은 일방적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골자다.

이 의원에 따르면 시는 침산동 대전청소년수련마을이 도심과 떨어진 외곽에 위치했다는 이유로 유사시 40-50명 정도의 수용시설로 잠정 결정해 놨다. 특히 시는 타 지자체의 사례와 달리 정부의 요청도 받지 않고 수용시설로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져, 예상보다 큰 저항이 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 의원은 “아직 대전에서는 우한폐렴 확진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는데 정부 요청도 없이 시가 수용시설 지정하는 것은 시민들의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민들의 의견은 듣지 않은 채 외곽지역이라는 이유로 수용시설을 지정하겠다는 것은 무슨 근거냐”며 “중구 구민들을 무시하는 허태정 대전시장과 대전시 관계자들은 즉시 침산동 대전청소년수련마을 수용시설 지정을 철회해야 한다”고 했다.

충남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여야를 떠나 우한폐렴 수용시설 지정에 대한 거센 반발이 일며, 선거 앞 정부여당에 대한 민심이반을 우려케 하고 있다.

충남 아산에선 정부가 경찰인재개발원을 우한폐렴 격리 수용 장소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강한 반발이 일고 있다. 정부는 오는 30-31일 전세기로 국내에 송환되는 중국 우한 지역 교민과 유학생 중 일부를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에 수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오세현 아산시장은 “경찰 인재개발원으로 결정한 것은 합리적 기준도, 절차적 타당성도 결여되어 있고, 지방정부와 단 한 번의 협의도 없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아산갑의 자유한국당 이명수 의원도 “격리시설 입지 선정 관련 정부의 고충은 이해하지만 행정 편의적 발상은 문제”라며, 오 시장의 입장과 궤를 같이 했다.

정치권은 물론 일반 시민들 역시 우한 교포의 아산 수용을 반대하고 나섰다. 아산지역 주민들은 충남 아산 경찰인재개발원 입구에서 트랙터 등을 이용해 바리케이트를 치고 “우한 교포 인재개발원 수용 절대 반대”를 외치며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 정부는 당초 우한폐렴 격리수용 장소로 충남 천안의 우정공무원교육원과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지정을 검토하다 이를 철회한 뒤, 아산을 대상지로 지정해 ‘우한폐렴 수용시설은 돌고 돌아 충청이냐’는 비판을 자초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