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폐렴 정국' 21대 총선 변수되나
사태 종식 여부따라 정부여당 국정운영 평가 잣대될 가능성 투표율, 정치권 인적쇄신과도 맞물려 향후 파장 이목 집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가 21대 총선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여야 정치권에 대한 민심의 향배를 가를 수 있음은 물론, 투표율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우한폐렴 사태가 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 가장 큰 배경은, 여야 모두를 겨냥한 ‘심판의 무게추’를 한쪽으로 기울일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 대선과 대선 사이 중간선거로 치러지는 총선은,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강했다. 하지만 이번 총선은 ‘보수성향 전(前)정권’에 대한 강한 반발 기류로 인해 여야 모두에 대한 ‘심판’의 성격을 보이며 진행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한폐렴 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유권자 표심의 향배를 가를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우한폐렴 사태 해결 정도가 현 정권의 국정운영 능력을 가늠할 잣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한폐렴 사태를 조기 종식할 경우 전(前)정권 무능론이 강해져 정부여당의 안정적 국정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의 상황에선 강한 ‘정권심판론’에 부딪치며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논란 등과 맞물려 예상 밖 파장이 발생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우한폐렴 사태로 관심을 끄는 대목 중 하나는 투표율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선거일까지 우한폐렴 사태가 종식되지 못할 경우 감염병에 대한 공포가 투표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 보통 정치권에선 투표율이 낮으면 보수성향 정당에 높으면 민주·진보 진영에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우한폐렴 사태가 지속될 경우 여야 각 당에 대해 충성도가 높은 적극적 지지층간 표 대결로 흐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경우 여야 모두 득실을 따지기가 쉽지 않을 수 있어 ‘안갯속’ 선거국면을 연출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우한폐렴 사태로 인한 제한적 선거운동으로 정치신인이 받게 된 불이익 역시 선거과정 변수로 꼽힌다. 이번 선거는 감염병 확산에 대한 공포로 다수의 후보들이 대인 맨투맨 접촉 등 ‘지상전’ 방식의 선거운동을 진행하기가 어려워졌다.
정치신인의 경우 인지도 싸움에서 기성 정치인에게 밀릴 개연성이 큰 풍토가 마련됐다는 것. 정치권에선 이 같은 상황이 정치혁신과 인적쇄신을 구하는 유권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해, 불신과 외면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파장을 자아낼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