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2012년까지 사회적 기업 100개 육성

47억5천만원 투입해 5개 과제 추진

2010-02-03     김거수 기자

대전시가 오는 2012년까지 사회적 기업 100개를 육성해 취약계층 2천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대전시는 2일 일자리 제공을 위해 47억5천만원 투입, 5개 과제를 중점 추진하는 ‘사회적 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시 계획에 따르면 현재 사회적 기업 8개, 예비 사회적 기업 15개 등 23개인 사회적 기업을 2012년까지 향후 3년간 100개로 늘리고 일자리 수도 598명에서 2천 명으로 확대키로 했다.

전략적인 측면에서는 3년간 국비 31억원 등 총 47억 5천만 원을 투입해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발굴 및 지정 ▲사회적 기업 경영지원 ▲사회적 기업 판로개척 ▲사회적 기업 경영혁신 지원 ▲사회적 기업 후견인제 운영 등 5대 과제를 중점 추진키로 했다.

또 다음달 중 ‘사회적 기업 육성위원회’와 실무추진단, 심사실무위원회 등을 구성, 관련 행정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이어 6월 이전에 사회적 기업 프로보노(기부)협의회 운영을 본격화하는 등 사회적 기업에 대한 유기적 지원체계를 완성키로 했다.

시는 다음달부터 당장 사회서비스분야 위탁사업, 자활사업 등 시장진입이 용이한 분야를 중심으로 예비 사회적 기업 발굴에 나서기로 했다. 영업수익이 창출될 수 있는 새로운 수익모델을 개발, 설립 시부터 적극 지원하겠다는 게 시의 방침이다.

시는 연간 네 차례의 공모를 통해 예비 사회적 기업을 집중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사회적 기업의 판로 개척을 위해 다음달부터 기업 품질인증을 통한 신뢰도 향상, 사회적 기업의 공동상품화, 지역사회 연계사업을 통한 수익 향상 등에 나서기로 했다.

또 사회적 기업의 물품과 서비스를 공공기관이 우선 구매토록 한 뒤 민간기업, 일반 시민 등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오는 9월부터는 지역 사회적 기업들로 이뤄진 인터넷 쇼핑몰이 운영에 들어간다.

사회적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업종별·지역별로 사회적 기업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현금, 현물, 금융 등 가능한 모든 지원제도를 연계시키는 방안도 추진된다.

(예비)사회적 기업에 대한 후견인제도 현재 1사 1담당사무관에서 1사 1과제로 확대 운영되고, 1사 1기업, 1사 1대학 등으로 범위를 넓혀 나가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예비 사회적 기업을 발굴·육성하는 한편 오는 7월부터는 경영자·실무자 교육, 교육과정 개설 등 다양한 경영지원에 나서 사회적 기업이 자립단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