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반쪽특구' 전락 총선 쟁점 부상하나
한국당 이영수, 출연연 분원 이탈 연구환경 악화 거론하며 집권여당 및 이상민 의원 책임론 제기
대전의 ‘4차산업혁명 특별시’ 건설 지지부진과 대덕특구의 ‘반쪽특구’ 전락문제가 유성을 선거구 21대 총선 쟁점으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자유한국당 이영수 예비후보가 대덕특구의 ‘반쪽특구’ 전락 우려에 대한 집권여당과 현역의원 책임론을 제기하며, 과학특구가 위치한 유성을 지역 유권자의 반응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 예비후보는 11일 보도자료를 통해 유성구의 소위 ‘잃어버린 20년’에 대한 책임을 더불어민주당과 현역인 민주당 이상민 의원이 함께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예비후보는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은 대전시청을 방문해 대전을 동북아의 실리콘밸리이자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현실은 ‘빈차혁명 광역시’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문재인표 대표 경제공약인 주 52시간 정책으로 인해 ‘불이 꺼지지 않는 연구소’였던 대덕연구단지는 유연성과 자율성이 낮아지고 행정 절차는 복잡해졌으며, 주 52시간 이외 불신고된 연구사고의 책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어 불안정한 연구 환경에 처해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정부 출연연구기관 연구원의 연구행위 자체를 시간 단위로 관리하는 것은 과학기술을 대하는 문재인 정부와 집권여당의 태도를 알 수 있다”면서 “정부 예산 중 출연금이 작년 대비 2.8% 증가에 그친 것 또한 정부의 홀대 속 무능한 현역 국회의원 한계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 후보는 또 “과학기술도시로 알려진 대전의 경우 특히 연구단지를 품고 있는 유성을 지역은 민주당 출신 국회의원이 지난 20년간 집권해 온 대표적인 지역”이라며 “과학기술도시의 모습은 찾을 수 없고 주거도시로 정착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만큼 ‘민주당 집권 잃어버린 20년’을 반드시 심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역에선 첨단산업 관련 공모사업 실패와 함께 대덕특구 출연연의 외지 이탈이 이어지며 4차산업혁명 특별시의 위상 하락과 대덕특구의 ‘보통구’ 전락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대덕특구내 일부 출연연은 분원과 센터를 외지 설치를 추진, 대덕특구는 ‘고갱이’빠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례로 생명연은 충북 오창과 전북 정읍에 분원을 설치했고, 한의학연구원은 대구와 전남에, 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서울, 수원, 부산, 대구, 호남 등에 분원 내지는 센터를 각각 설치했다.
또 원자력연구원은 전북 정읍과 경북 경주에, 전자통신연구원은 경기 성남, 광주와 대구에, 기계연구원은 대구, 부산 등에 각각 분원과 센터 등을 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