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서해수호의 날’의 의미
대전지방보훈청 보훈과 김민진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확산으로 대한민국은 얼어붙었다. 요즘 나 역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려고 친구들과의 만남을 자제한다. 이렇게 일상이 위협받고 있으니 평온한 일상에 대한 소중함이 느껴진다.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2010년 봄에도 우리들의 소중한 일상을 지키기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있었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2010년 3월 26일. 평화롭던 봄날에 백령도 일대에서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서해를 책임지던 천안함에 탑승한 해군장병들이 차디찬 바다 속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날 46명이 사망하였고, 구조작업을 하다가 故 한주호 준위가 순직하였다.
국민들의 충격이 채 가시기 전 그해 11월 23일 연평도 일대에서 북한의 기습적인 포격으로 2명의 해병대원이 전사하였다. 그리고 2002년 한일월드컵으로 전국민들이 한창 들떠 있던 6월에도 북한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여 발생한 제2연평해전에서 6명이 전사하였다.
서해수호의 날은 제2연평해전(6명)과 천안함 피격(47명), 연평도 포격도발(2명)로 희생된 ‘서해수호 55용사’를 추모하기 위해 희생이 가장 많았던 천안함 피격일인 ‘3월 넷째 금요일’로 지정한 정부기념일이다.
올해는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도발 10주기가 되는 특별한 해로써, 제5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이 3월 27일 오전 10시에 서해수호 55용사가 안장된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될 예정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확산으로 기념식 규모를 축소하여 참배행사 위주로 진행될 예정이지만 그 의미까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이번 행사의 슬로건인 “그날처럼, 대한민국을 지키겠습니다.”는 국토수호 전사자의 정신을 이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모든 국민들에게 국난극복의 힘이 되는 메시지를 담았다.
며칠 후면 서해수호의 날이다. 서해수호 55용사는 자신의 생명마저 지킬 수 없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을 지키고자 그리고 우리들의 소중한 일상과 생명을 지키고자 희생되었다. 그들이 누군가에게 귀한 아들이고 듬직한 남편이자 든든한 아버지였을 생각을 하니 가슴이 먹먹하다. 오늘 하루만이라도 서해수호 55용사를 기억하고 서해수호의 날의 의미를 생각해보자. 그리고 모두가 힘을 모아 이 위기를 이겨낼 수 있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