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당선자, 희망 상임위 어디

국토위·산자위 등 인기상임위 희망...쏠림 현상 '뚜렷'

2020-05-08     김용우 기자

21대 국회를 이끌 첫 원내사령탑을 선출한 여야가 국회 전반기 원구성 협상에 나서게 됨에 따라 대전지역 당선자들의 상임위원회 배정에 관심이 모아진다.

허태정

8일 본지 취재 결과 7석 전석을 석권한 더불어민주당 대전 당선자들 대부분은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등 이른바 ‘인기 상임위’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선 이상 중진들은 국회의장과 국회부의장, 상임위원장 도전이 유력하다. 6선에 성공한 민주당 내 최다선 박병석(서구갑) 당선자는 일찌감치 국회의장을 도전을 시사하며 더불어시민당 초선의원들과 만찬 회동 등을 통한 세 확장에 분주한 모습이다. 국회법에 따르면 국회의장은 상임위원회 의원이 될 수 없다.

5선 이상민(유성을) 당선자 역시 국회부의장 후보로 연일 거론되면서 몸값을 끌어올리고 있다. 이 당선자는 대덕연구단지가 위치한 지역구인 만큼 1순위에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를 희망했다. 이 당선자는 18대 국회부터 과학 관련 상임위원장 및 위원으로 활동해 왔으며 현재 민주당 과학기술특별위원장 겸 정보통신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당선자는 과방위 이외에도 국방위원회(국방위), 외교통일위원회(외통위)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5선 중진으로서 국가안보 및 외교통일 등 국가적 역할 수행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게 보좌진의 설명이다. 지방의원들은 트램 및 지족터널 등 현안 해결을 위해 국토위에도 도전할 것으로 내다봤다.

3선 중진 반열에 오른 박범계(서구을) 당선자는 여당 몫 상임위원장을 차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 당선자는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와 산자위를 두고 장고에 들어갔다.

박 당선자는 본지 통화에서 “국회에서 저의 역할이 검찰개혁에 비중을 두느냐, 혁신성장에 비중을 두느냐에 대한 고민을 마치지 못했다”며 “법사위냐 산자위에 남느냐 그런 결정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여야 원대대표 간 국회 상임위원장 논의에 따라 여당 몫 상임위원장이 배분 되면 그 때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재선 조승래(유성갑) 당선자는 산자위와 교육위원회(교육위), 문화체육관광위(문체위) 중에서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는 20대 국회 전·후반기 모두 교육위에서 활동했다.

특히 조 당선자는 지난 2018년 지방에서 최초로 조성되는 기술창업 스타트업 공간 ‘팁스(TIPS)타운’ 건립(올 9월 완공 예정) 예산 60억을 반영시킨 바 있다. 그는 팁스(TIPS)타운에서 청년 창업과 은퇴 과학자들의 경력과 노하우 활용에도 관심이 많아 산자위 신청이 유력해 보인다는 게 보좌진들의 설명이다.

조 당선자 지역구인 유성갑은 카이스트를 비롯해 충남대, 한밭대 등의 국립대학이 위치해 있어 다시 한번 교육위에 신청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유성온천관광 거점지구 조성 공약을 비롯해 온천특구 활성화를 위한 문체부 공모가 진행 중인 점과 카이스트를 중심으로 게임관련 기술 및 창업도 초기 단계에 있는 점도 맞물려 문체위 도전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분석이다.

30대 청년 장철민(동구) 당선자는 1순위에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 2순위에 국토위를 희망했다.

장 당선자는 통화에서 “현재 국가위기 상황인 만큼 청년 경제, 일자리 관련 일을 할 사람이 당에서 필요하긴 하다. 청년 일자리 때문에라도 그쪽 분야를 제가 담당해야 하지 않겠나 생각한다”며 “혁신도시 지정 후속 대책인 공공기관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도 국토위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기회가 되면 예결위 위원으로 들어가고 싶다”고 밝혔다.

검찰 개혁을 주장하며 연일 검찰과 날을 세우고 있는 황운하(중구) 당선자는 예상대로 법사위를 희망하고 있다.

황 당선자는 통화에서 “검찰의 권력 남용을 바로잡고 입법의 영역에서 검찰 개혁을 완수하겠다”고 했다. 2순위와 3순위는 국토위와 산자위를 선호했다. 그는 “낙후된 지역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국토위와 산자위 두 곳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영순(대덕구) 당선자는 일찌감치 1순위 국토위, 2순위 산자위, 3순위 환노위를 꼽았다.

박 당선자는 지난달 28일 대전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덕구 지역 현안 해결과 대전시 발전을 위해선 지역발전 요소들과 부합하는 상임위로 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덕구 혁신도시 지정 후 공공기관 유치를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박 당선자는 국토위를 공개적으로 희망했다. 산자위와 환노위는 신탄진과 대화동 등 공장과 공단이 밀집해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