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의석 의원, “아산형 버스노선 환승 시스템” 도입 제안

2020-05-18     최형순 기자

맹의석 의원(온양1동, 온양2동, 온양3동, 온양6동)은 18일 제221회 아산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50만 자족도시를 위한 “아산형 버스노선 환승 시스템” 도입을 제안했다.

5분

그러면서 “환승형 시스템을 도입하면 초기에는 불편함이 발생 하여 민원도 발생하겠지만, 환승형 시스템을 도입하면 고속도로와 서울의 버스전용 차로제처럼 시행후에는 잘 되었다는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시내를 중심으로 하여 배방,천안방향/ 둔포,평택방향/ 영인,인주방향/ 신창,도고,선장방향/ 송악,공주방향등으로 큰 가지의 대형버스운행과 이를 보조해주는 마중버스의 역할로 기존 업체와의 노선 겹침 현상을 해결하고 다구간의 배차시간을 단축하여 운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아산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버스는 온양교통 82대, 아산여객, 50대, 총 132대의 버스가 75개 노선을, 시설공단의 마중버스 31대가 62개의 노선등 총137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와 인건비 상승과 근무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버스회사의 경영이 악화되고 배차시간의 축소로 시민들의 불편함과 민원이 끈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사항은 비단 아산시 뿐만이 아니고 다른 시.군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무조건적인 운전원과 차량의 확보를 위해 예산 투입이 필요한 상황으로 업체에서는 무조건적인 공영제를 요구하는 실정에 있다.

얼마 전 대중교통과에서 노선의 조정을 위한 용역이 이루어졌지만, 해결방법은 감축운행과 효율적인 노선운영 밖에 없다는 결론으로 대안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중교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편리하도록 사용하여야 하나, 러시아워를 빼고는 시내구간을 통과 할 때 3∼4명 정도 밖에 탑승하여 운행하는 비효율적인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