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코로나 이후 사회변화 선제적 대응 나선다
민관협치 모델로 구성된 포스트코로나기획단 가동 산업혁신, 공동체 복원 등 패러다임 전환 대책 마련
대전시가 코로나 19 종식 후 사회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시는 코로나 19 사태 이후 변화된 사회에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포스트코로나기획단을 구성 운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시에서 추진하는 포스트코로나기획단은 시장과 부시장이 각각 단장과 부단장을 맡고, 기획조정실장이 총괄조정, 정책기획관이 총괄운영하는 형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포스트코로나기획단은 외부 전문가 기관과 유기적 협조체제를 구축해, 거버넌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기획단 실무는 시 행정기관 내 실·국별로 나눠 ▲사회안전망 ▲산업혁신 ▲공동체 복원 ▲행정혁신 ▲대전형뉴딜 등의 대주제를 추진해 나간다.
보건복지국, 시민안전실 등이 주축이 된 사회안전망 구축은 감염병 대응체계 마련, 공공의료시스템 구축, 고용안전망 등의 과제를 추진해 나간다.
산업혁신은 문화체육관광국, 과학산업국이 주축이 돼, 디지털 경제, 비대면산업, 바이오헬스 등 신성장산업 육성을 담당할 예정이다.
공동체지원국과 자치분권국이 추진하는 공동체 복원은 사회적 연대, 사회혁신, 사회적 가치, 돌봄 사회화 등을 추진한다.
행정혁신은 정책기획관과 자치분권국이 맡아 스마트오피스, 빅데이터 활용, 행정서비스 개선 등을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환경녹지국 등이 추진하는 대전형 뉴딜은 세부사업으로 그린뉴딜, 스마트시티, SOC디지털화, 디지털물류 등을 추진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19일 진행한 비대면 주간업무회의에서 포스트코로나기획단 구성방안을 논의하며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허 시장은 “코로나 사태로 정치, 경제, 문화는 물론 행정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이 변하고 또 처방이 나오고 있다”며 “이런 시점에서 포스트코로나기획단 운영으로 우리시의 중장기 미래를 구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획단이 실질적으로 변화를 이끌고 성과를 내려면 워킹그룹을 활용해야 한다”며 “워킹그룹을 어떻게 구성하고 현실이 반영된 적합한 대책을 세울지 실무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허 시장은 이날 주간업무회의에서 대전형 긴급생계지원금과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역화폐 온통대전 등 시민에게 지급되는 각종 지원금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각별한 노력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