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자원연, 불산 안쓰는 고순도 흑연 제조 기술 개발
세계적 불산 정제법 규제 강화 대응책으로 떠올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불산을 사용하지 않고 고순도 흑연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최근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한 흑연 불산 정제법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이라 이번 기술의 의미가 크다.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 활용도가 높은 우리나라와 중국 등은 경제성 있는 친환경 고순도 흑연이 필요한 상황으로 경제적·기술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KIGAM은 7일 광물자원연구본부 자원활용연구센터 장희동 박사 연구팀이 킬레이트 침출, 저온소다배소 등 새로운 방법을 적용한 친환경 고순도(99.99%) 흑연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새로운 습식 제련법 적용으로 고순도 흑연 정제 과정에서 투입되는 시약의 양,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 등을 최적 조건으로 유지했다.
이와 함께 기존 불산 정제법에 소요되는 시약과 폐불산 처리 비용 등을 시뮬레이션해 비교한 결과 이번 기술이 기존 대비 70% 수준의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확인했다.
장희동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고순도 흑연 제조 기술은 기존 99.9% 순도보다 더 높은 99.99% 이상의 최고 순도 흑연 정제 기술”이라며 “친환경성과 경제성의 장점을 바탕으로 중국 등의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효용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복철 KIGAM 원장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차세대 에너지 원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성과”라며 “이번 기술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기술이전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