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회, 코로나 사태 속 쓰레기 대란 우려 제기

손희역 시의원 “민간업체들이 문 닫으면 쓰레기 대란 불 보듯 뻔해” 손철웅 환경녹지국장 “수용 범위 정리해 정책방향 마련하겠다”

2020-06-08     이성현 기자
손희역(왼쪽)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언택트(Untact,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면서 일어나는 쓰레기 대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대전시의회에서 나왔다.

손희역(민주당·대덕1) 의원은 8일 제250회 제1차 정례회 복지환경위원회 회의에서 “이 같은 상황을 대전시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손 의원에 따르면 대전시 쓰레기 수거 업체는 1일 평균 3~600톤의 쓰레기를 수거해 분리과정을 거치면 100톤의 생활쓰레기가 나오는데, 현재 분리된 쓰레기들은 대전시 쓰레기 매립장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고액의 비용을 들이며 시외로 반출되고 있다.

그는 “문제는 민간업체들이 문 닫을 경우 쓰레기 대란이 불 보듯 뻔하기에 계룡시와 세종시 등 다른 지자체들은 이 기간 쓰레기를 받아준다는 것”이라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다른 지자체에서 반발이 심할텐데 시에서도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타 지자체에 쓰레기가 나가면서 소요되는 요금이 시에서 받는 요금의 10배 가깝다고 한다”며 “그것의 절반만 받아도 세입이 늘고 공생도 가능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에 손철웅 시 환경녹지국장은 “재활용되고 남은 생활쓰레기가 모두 공공에서 처리할 수 있는 부분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타 지역에서 처리되는 양과 우리 시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정리해 정책방향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