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지사, "수소 규제자유특구 지정 받겠다"

천안, 공주, 당진, 홍성, 태안 일원 228억원 투입...수소연료전지, 충전 등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에도 주력

2020-06-09     김윤아 기자

충남도가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와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지정 받기 위해 속도를 낸다.

양승조

양승조 지사는 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소산업은 태동 단계로 법규나 규제가 미비한 실정"이라며 "연구개발과 기업 활동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신청했다. 정부 지정을 위해 흐트러짐 없이 대응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는 천안, 공주, 당진, 홍성, 태안 일원 72.2㎢에 2022년 6월까지 2년동안 228억원을 투입해 ▲가정용·건물용 수소연료전지 ▲수소충전시스템 ▲해안선 감시 및 도서지역 긴급 물품 배송 드론 비행 등을 추진한다.

여기에 연료전지분야 5개사, 수소충전소 5개사, 수소드론 8개사, 연구기관 7개소 등 24개사가 앵커기업으로 참여하고 있다.

충남 수소에너지전환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수소충전소 80개소 건설 ▲수소드론 3750대 보급 ▲매출 1조 4300억 원 ▲고용 6750명 창출 등의 경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의 2차 분과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뒤 3차 분과위원회와 심의위원회, 국무총리 주재 특구위원회 심의 등을 남겨두고 있다.

양 지사는 "남은 심의에서 타 지자체와 차별성, 특구 지정 시 경제적 효과 등을 집중 부각해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천안아산 강소연구개발특구는 국내 유일 자동차 부품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자동차연구원을 중심으로 천안아산 KTX 역세권 R&D집적지구와 풍세산업지구를 미래형 ICT 융복합 자동차산업에 특화된 연구개발특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도는 지난해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강소특구 지정을 신청해 지난달 2차 대면 검토까지 마쳤다.

도는 이달 중 예정된 발표 평가에서 제기되고 있는 2개 시지정 신청 이격 거리 초과 등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적극 제시하면서 경제적 효과를 집중 피력한다는 방침이다.

양 지사는 "자동차 산업은 충남을 이끌어 가고 있는 기간산업이자 지역 일자리의 핵심이나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새로운 변화를 맞고 있다"며 "자동차 관련 산업이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고 새 미래를 앞서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