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산하기관 임차비 혈세 ‘줄줄’
시의회 복환위 추경안 심사서 질타 복지재단, 신용보증재단 건물주에 연간 11억 원 지불 "市, 지난해 건물 매입기회 놓쳐" 질책
대전시 산하 출자·출연기관 2곳이 건물 임차비용과 관리비로 10년간 100억 원 가량이 투입돼 ‘혈세’ 낭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대전신용보증재단과 대전복지재단은 중구 대흥동에 있는 D빌딩에 입주해 있다. 연간 임차비용과 관리비로 약 11억 원을 건물 소유주에게 지불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지난 9일 열린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이종호) 2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를 통해 집중 조명됐다.
앞서 7대 대전시의회는 해당 출자·출연기관의 임차비와 관리비로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자 공용건물 매입을 주문한 바 있다. 하지만 집행부는 지난해 임차 건물 매입 기회를 놓쳐 혈세 누수 방지에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구본환 의원(유성4·민주당)은 "2년 전에도 TF팀을 만들어 현재 사용하는 건물 또는 별도 건물 매입을 주문했다"며 "복지재단을 확대 전환하는 사회서비스원 출범으로 인력(6명)을 충원하면 공용공간과 사무실 사용면적이 늘어나는데 임차비용과 관리비가 더욱 늘어나는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이어 "지난 10년간 100억 원 이상을 임차비용과 관리비로 사용해 어떤 방식으로든 건물 매입을 요구했다"며 "지난해 (D빌딩을)매입했으면 되는데 TF팀을 만들어 무엇을 했느냐"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D빌딩이 지난해 매물(230억~250억 원)로 나왔는데도 건지질 못했다"며 "현 건물주가 매입해 리모델링을 거쳐 가치가 50~60억 원 상승했다는 게 지역 부동산 업계의 얘기다. 지난해 매입했으면 얼마나 좋았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종호 위원장도(동구2·민주당) "7대 의회 때도 매입 또는 신축 얘기가 있었고, TF팀 구성 과정에서 D건물이 매물로 나왔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대전시가 가장 먼저 (매물로 나온 것을)인지하고 있었을 텐데 다른 손에 넘어갔다. 지금도 알아만 보고 있는 것이냐"고 질책했다.
이에 대해 이강혁 보건복지국장은 "임차해 쓰는 건물이 매물로 나왔는데 시에서 매입 기회를 놓쳤다"며 "실무적으로 대전신용보증재단에 공용빌딩 매입 의사를 전달하고 현재 인근 13층 짜리 건물 매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