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평가연구소, 전자담배연기 발생시스템 개발

2020-06-16     이성현 기자

안전성평가연구소가 16일 액상 및 궐련형 전자담배 종류에 상관없이 표준화된 전자담배연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표준화된

연구진은 전자담배연기 내 유해물질 발생에 가장 주요한 요인이 가열온도라는 것을 발견하고 담배연기를 발생시키는 온도와 기체의 유량을 통제해 전자담배의 종류에 상관없이 비교·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전자담배연기 발생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시스템은 온도제어 용기에서 전자담배에 열을 가한 후 공기발생기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어주는 방식으로 전자담배연기를 발생시키며, 고온의 전자담배연기를 실온으로 온도를 낮춘 후 시료채취 및 분석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실험한 결과 전자담배의 가열온도가 약 250℃부터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이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가열온도에 따라 유해물질 발생농도가 최대 100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전자담배 유해성 평가방법의 경우 담배연기 발생조건을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는데 전자담배연기 내 유해물질의 종류 및 농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전자담배연기를 실제와 같이 재현성 높게 발생시킴으로서 전자담배연기 발생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이는 전자담배의 안전성평가 기준을 확립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안전성평가연구소 흡입독성연구그룹 김용현 박사는 “이번 연구는 향후 국제적 기술 상용화 및 전자담배 독성영향평가 시험가이드라인 마련에 이바지 하게 될 전망”이라며 “전자담배연기 표준 발생 시스템을 이용해 전자담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유해성에 대해서도 일정한 조건 하에서 평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식품의약안전처의 ‘담배제품의 표적장기 독성시험법 및 가이드라인 마련’ 과제로 진행됐으며 공공, 환경 및 산업 보건분야 학술지 Environmental Research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