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기후 충남도의원 "돌봄사업 통합관리 필요"

도, 교육청의 분절적인 추진으로 엇박자 지적

2020-06-16     김윤아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초등돌봄 공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현재 학교와 마을로 이원화된 돌봄 사업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도의회 홍기후 의원(당진1·더불어민주당)은 16일 제321회 정례회에서 도정·교육행정질문을 통해 “충남형 온종일 돌봄체계를 완성해 ‘아이 키우기 좋은 충남’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도록 충남도와 충남도교육청이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홍 의원은 “저출산 현상 원인 중 하나가 아동 양육에 대한 부담”이라며 “돌봄을 더 이상 개인이나 가정의 책임으로만 둘 수 없는 상황인 만큼 초등 돌봄 전수조사를 통한 통합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현재 도와 도교육청의 분절적인 추진으로 엇박자가 나고 있는 충남의 수요자 중심 초등 돌봄 체계 구축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홍 의원은 “현재 학교 지자체를 중심으로 돌봄 체계가 운영 중이지만 사업주체의 이원화로 인해 도청과 도교육청의 업무협조 또한 원활하지 못하다”며 “지역별 여건과 수요를 반영한 차별화된 초등 돌봄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돌봄시간 연장과 관련 인력 확충도 촉구했다.

홍 의원은 “현재 1~2학년을 위주로 오후 4시 30분까지 운영하는 돌봄 시간을 학부모 퇴근시간인 오후 6시까지 연장해야 한다”며 “일반 교사가 운영하는 돌봄교실이 도내 751곳 중 82곳이나 되는 만큼 돌봄 전담사 확충도 이뤄져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양 기관 모두 현재 운영 인력과 예산으로 돌봄 사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지 의문”이라며 “실질적이고 실효성 있는 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전담기구나 팀을 신설해 협업하는 것이 안심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충남을 만드는 길”이라고 말했다.

양승조 지사는 "돌봄사업은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사업, 초등돌봄교실, 공동육아나눔터 등 중앙정부 각 부서에서 분절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큰 문제다. 이런 분절적 사업이 통합 개선되도록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지철 교육감은 "여러가지로 고민하고 있고 해결방안 찾기 위해 시군과 더 고민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