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미상용화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 분석·평가 툴 개발

KAIST 이재형 교수 연구팀, 독일 아헨공대 연구진과의 협력 연구로 성과 거둬

2020-06-22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2일 생명화학공학과 이재형 교수 연구팀이 아직 상용화가 안되거나 개발단계에 있는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을 사전 분석·평가하는 툴(Tool)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미성숙

해당 툴은 이산화탄소 활용을 위한 신기술을 개발 중인 단계에서 연구 효율성과 경제성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 유망 신기술 발굴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툴은 개발단계에 있는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을 대상으로 구체적·세부적 정보 없이 일부 정보만으로도 해당 기술의 에너지 효율과 경제성, 온실가스 저감 잠재량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기술 평가에 필요한 지표 계산이 가능하도록 고유의 기술성숙도와 다양한 이산화탄소 전환 특성 등 체계적이고 세분된 전략을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 다양한 신흥 녹색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해당 기술이 과연 유망한 기술인지 아닌지를 사전에 판단해 연구 인력과 예산을 집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

이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현재 전 세계에서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며 "아직 상용화가 안 돼 있거나 개발 중인 미성숙 기술을 대상으로 에너지 효율과 비용대비 경제성 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어 유망 신기술에 연구개발 인력과 비용을 집중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이 교수팀과 독일 아헨공과대학교(RWTH Aachen University)에서 공정 설계와 최적화 분야 전문가로 꼽히는 알렉산더 밋소스(Alexander Mitsos) 교수,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의 모든 과정을 평가(Life Cycle Assessment)하는 분야의 전문가인 안드레 바도우(André Bardow)교수, 그리고 분리막과 전기화학 분야 전문가인 마티아스 웨슬링(Matthias Wessling)교수 연구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뤄졌다.

또 이번 연구는 한국 이산화탄소 포집 및 처리 연구개발센터(KCRC)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녹색·지속가능 기술 분야 국제 학술지인 ‘녹색 화학(Green Chemistr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