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지방선거 앞두고 한나라당, '공천 속앓이'

지방공천 심사위 구성, 인재영입위 활동 두고 논란

2006-02-09     편집국

한나라당이 중앙당 공천심사위를 구성하는 등 본격적인 지방선거체제로 전환했다.

그러나 공천잡음에 대한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되는 가 하면인재 영입위원장이 당 방침에 반발해 위원장직 사퇴의사를 밝히는 등공천작업을 둘러싸고 갈등양상을 빚고 있다.

한나라당의 지방선거 공천작업에 대한 우려가 당내에서 제기되고 있다.

16개 시도당별로 자체 공천심사위를 구성해 공천 심사를 하도록 한 것이 논란의 대상이다.

당 혁신위가 개정한 당헌 당규에 따라 각 시도 공천심사위는 광역단체장을 제외한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에 대한 공천심사권을 갖는다.

전국적으로 공천심사위원 2백명 이상

시도별로 15명안팎으로 심사위를 구성할 경우 전국적으로 2백여명의 공천 심사위원이 실제 심사활동을 벌이게 되고 이럴 경우 잡음이 불거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고민이다.

시도별 공천심사위 구성작업도 만만치 않다.

공천심사위에 참여하기 위해 현역의원들은 물론 원외위원장들간의 각축전도 벌어지고 있다.

공천 심사위원장 두고 경선도

경남지역의 경우 공천심사위원장의 합의 추대방안을 논의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9일 낮 오찬 모임에서 경선 끝에 김학송 현 도당위원장을 심사위원장으로 선출했다.

당규상에는 공천 심사위원장은 심사위원들 간의 호선으로 선출하도록 규정돼있다.

인재영입위 활동도 또 다른 논란거리다.

인재영입위는 5월 지방선거기초단체장 후보자 164명의 명단을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했지만,당내 이견으로 심사자체가 유보됐다.

공성진의원은 9일 의원총회에서 “외부인사 영입과정을 놓고 혼선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인재영입위의 활동을 당분간 중단할 것”을 제안했다.

김형오 인재영입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위원장직 사퇴의사를 밝혔다.

5월 지방선거는 한나라당 내부싸움

한나라당 핵심당직자는 "5월 지방선거는 여당과의 싸움이 아니라 한나라당 내부 싸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방호 정책위의장이 최근 한 당내 회의에서 공천심사위 구성과 심사 과정의 문제점을 공개 지적하는 등 당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박근혜 당 대표가 "공천심사 과정에서 부정부패가 발생할 경우 당규에 따라 일벌백계로 분명히 책임을 묻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당내 논란을 의식한 것이었다.

박대표는 9일 확대 당직자 회의에서 “공천심사위가 기초단체장과 광역의원 공천 등 많은 권한을 갖는 만큼, 그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며 “특히 공천심사 위원장은 무한책임을 져야하고 그럴 생각이 없다면 위원장을 맡을 생각도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중앙당 공천심사위는 10일 첫회의를 갖고 공천심사위 구성에 관한 지침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심사위는 광역단체장 후보의 경우 다음주 후보공모를 한 뒤, 다음달 19일 기초단체장 예비후보 등록일 전까지는 후보선출을 완료하고,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 의원들의 경우에도 가급적 다음달 19일 전후해 후보선출을 끝낸다는 계획이다.


CBS정치부 성기명 기자 kmsung@c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