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개·사람 공통 암’ 유전자변이 지도 구축

반려견 암 유전자 정밀의료 구현 위한 토대 마련

2020-07-17     이성현 기자

한국연구재단이 17일 사람의 유방암과 공통점이 많은 유선암에 걸린 개의 유전자변이 지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개유선암의

개의 유전정보는 15년 전 이미 해독됐지만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전체 유전체를 대상으로 한 유전자변이 지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재단에 따르면 김상우 연세대 의대 교수가 주축이 된 연세대-가톨릭의대, 건국대 수의대, 광주과학기술원 공동연구팀이 개 암의 유전자변이 패턴을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사람은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유전자변이가 대부분 밝혀져 정밀의료가 실현 중인 반면 개의 경우 사람과 유사한 모양·과정으로 암이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유전변이에 대해선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건국대 연구팀에서 확보한 국내 유선암 발병견 191마리와 종양시료를 대상으로 종양 유전체 정보를 읽어냈다. 이를 바탕으로 유전변이와 유전자 발현을 분석했해 지도를 완성했다.

연구팀은 개의 유선암 유전자 변이지도와 사람의 유방암 변이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비슷한 빈도로 변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같은 유선암이라도 발현 정도에 따라 아형(subtype)이 존재하고 사람 종양에서 알려진 아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아냈다.

이에 따라 사람의 암에 대한 접근을 개의 치료를 위해서도 적용해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될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다.

재단 관계자는 “이번 연구로 반려견 수명 향상은 물론, 인위적으로 종양 유발 실험 한 동물모델과 달리 사람과 같은 환경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에서 생긴 암을 분석한 것이라는 점에서 사람의 암에 대한 이해도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