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정 "대전-세종 통합하자" 제안

200만 규모 광역단체 출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구축 강조 대전, 세종 지역민 공감대 형성, 타지역 반발 무마 등 '과제'

2020-07-23     성희제 기자

허태정 대전시장은 23일 대전-세종 통합을 제안했다. 인구 200만 규모의 광역단체를 출범시켜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를 완성, 균형발전의 모델을 만들자는 것이 골자다.

허태정

허 시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이미 공동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는 대전과 세종은 행정수도의 실질적 완성과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모델을 만들 수 있는 운명공동체”라며 “이를 위해 대전-세종의 통합에 대해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행정수도 완성의 당위성에 대한 정부와 국회의 움직임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을 다 할 것”이라며 “대전과 세종이 통합하면 인구 200만 이상의 광역도시로 행정수도의 기반이 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끄는 중부권의 한 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허 시장은 “균형발전 뉴딜을 절호의 기회로 삼아 대전과 세종의 상생 협력에도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야 한다”며 “앞으로 시민사회, 정치권 등과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숙의해 나가고, 필요한 연구와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허 시장의 대전-세종 통합 제안은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이 될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건설의 기틀을 다짐은 물론, 충청권 광역경제권 구축의 초석을 다질 수 있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구상과 노무현 전 대통령 대선공약으로 구체화 된 행정수도 건설은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선도할 핵심 과제로 꼽힌다.

참여정부 이후 행정수도 수정론과 위헌 판결이라는 ‘암초’를 만나며 시련을 겪어왔지만,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의가 재점화되면서 성사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키우고 있다.

특히 대전-세종 통합은 충청권 광역경제권을 구축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눈길을 끈다.

대전을 주요 생활권으로 하는 인근 지역과 상생의 기틀을 마련, 대전-세종 통합을 넘어 인근 지자체와의 통합을 통한 광역경제권 중심의 국가 ‘리모델링’을 꿈 꾸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 것.

다만 대전-세종 통합은 성사까지 ‘넘어야 할 산’이 적잖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합의 주체가 될 대전-세종 지역민이 공감대를 형성해야함음 물론, 다른 지역과의 균형발전을 기저에 깔고 추진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명실상부한 광역단위 행정수도 구축을 전제로 출발한다는 점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수도권과 다른 지역의 반발도 고민하면서 일을 추진해야 한다.

청와대와 국회를 비롯해 정부부처 이전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수도권을 비롯한 타 지역의 반발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를 무마시키는 상황에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전-세종 통합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가능성 있는 추진 계획이 뒷받침 돼야 한다는 점은, 논의에 불을 붙인 허 시장에게 주어진 '숙제'다.

구체적 계획과 사업 추진이 선행되지 않으면 허 시장의 대전-세종 통합 제안은 단순 정치적 레토릭으로 비춰져, 정치 희화화 및 시정에 대한 불신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