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개혁을 위한 국민중심당의 정당 구조
“국민중심당이 드리는 희망과 약속”
![]() |
||
| ▲ 남충희 원장 / People First Academy | ||
우리나라의 정치 현실을 바라보며 참으로 한숨을 많이 내쉬었다. 기가 막혔다.
권력이 집중된 기존 정당의 중앙당 A라는 사람이 기자회견을 열어 한나라당 후보로서 국회의원 출마를 선언했다. 그 다음 순서는 당연히 자신의 지역구로 가서 유권자들과 어울리는 것이리라. 그러나 예상과 달리, A는 짐을 싸 서울의 한나라당 중앙당으로 올라갔다. 어찌 보면 참으로 똑똑한 사람이다. 최고 보스인 총재의 공천만 받으면 무조건 당선이기 때문이었다.
추종자로서의 기존 정당 당원 그 후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된 A는 자신의 지역구 대의원들을 모두 자기 사람으로 심어 놓는다. 새마을금고 이사장도 자기 사람이다. 중앙당 총재의 눈 밖에만 나지 않는다면, A는 평생 동안 이 지역구에서 경선 승리는 당연하다. 부산에서 한나라당 경선 승리는 곧 당선이기 때문이다. 당원들과 대의원들은 정당의 주인이 아니다. 단순한 추종자일뿐이다. A의원은 많은 추종자들을 거느리고 충성과 은혜를 교환하면서 토호 세력을 형성한다.
기존 정당의 중간 보스에게 집중된 권력 따라서 구청장을 하고 싶은 사람은 국회의원 A를 찾아가야 했다. A의원이 이 지역구의 한나라당 경선 표를 모두 장악하고 있으니 A에게 눈도장을 찍어야만 한다. 경선은 요식행위이고, 실질적으로 A의원이 공천을 주는 것이다. 구청의 주민들이 무엇을 원하나 뛰어다니면서 파악하고 분석할 필요가 없다. 실질적으로 공천권을 틀어쥐고 있는 A의원만 바라보면 된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A의원의 마음에 들어야 한다.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 시의원을 하고 싶은 사람도 마찬가지다. 또한, A의원은, 구청장 후보가 자신보다 더 똑똑한 듯 보이면 절대로 공천을 주지 않는다. 자신의 잠재적인 경쟁자가 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기존 정당의 국민 소외 지역주의의 볼모에 잡힌 시민들이 불쌍하다. 영남과 호남이 모두 이렇다. 바뀌지 않는다. 이러한 지역주의 울타리 안에서 정치구조상의 문제점은 세가지다. 첫째, 정치인들이 국민을 바라보지 않는다. 둘째, 유능한 정치인들의 등용이 어렵다. 셋째, 경쟁이 차단된 구조로 인해 훌륭한 리더십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국민중심당 : 시·도당으로 분권과 생활정치 국민중심당은 정치개혁을 들고 나왔다. 정치를 개혁하지 않으면 안될 정당 구조를 만들었다. 즉, 분권이다. 따라서 국민과 가까운 16개 시·도당은 생활정치에 매진하게 될 수 밖에 없다. 즉, 실용주의다.
국민을 바라보는 국민중심주의 각 시·도당이 정치의 생산지가 되면서, 국민중심당의 정치인들은 국민들을 바라보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없다. 1인 보스의 의사가 정당을 좌지우지 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의 의사가 정치에 반영되는 것이다. 국민중심당은 당원에 관한 인식을 바꿨다. 정치인의 추종자가 아니라 당의 주인으로 여긴다. 따라서 당원들의 투표에 의존하는 상향식 공천 및 의사결정이 원칙이다. 국민중심당의 정치인들은 중앙당의 보스를 바라볼 필요가 없다.
시·도당대표협의회와 지역주의의 해소 시·도당 대표 16명이 모인 <시·도당 대표 협의회>가 중앙당이다. 어찌 보면 각 시·도당들의 느슨한 연합 형태라 볼 수도 있다. 따라서 국민중심당의 중앙당은 어떤 특정한 한 지역의 색깔을 구조적으로 띨 수가 없다. 우리나라의 고질적인 문제인 지역주의를 당내에서 소화, 융화 시켜나가는 정당이다.
국민중심당의 과제 국민중심당의 승리를 위해서 소모적인 이념 논쟁 대신 정책 대결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미래는 정치개혁의 성공여부에 달려있다. 정치개혁의 철학을 국민중심당은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하려고 한다. 이러한 국민중심당에 애정어린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