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나노소재+원자력기술’ 신기술 개발 돌입
내일테크놀로지와 질화붕소나노튜브 기반 원자력·방사선 응용기술 개발 MOU
차세대 나노소재와 원자력기술을 접목해 신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가 국내에서 진행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31일 연구원 창업기업 내일테크놀로지와 ‘질화붕소 나노튜브 기반 원자력 및 방사선 으용기술 개발 상호협력협약’을 5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은 ▲나노신소재 공동 연구 ▲질화붕소나노튜브 이용 원천 산업 신소재 공동개발 ▲기술정보 교류 ▲연구장비와 시설공유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양 기관은 다양한 방식의 기술 협력을 통해 원자력과 방사선 분야에서 질화붕소나노튜브를 기반으로 원천 기술과 제품을 개발, 신시장을 창출할 계획이다.
내일테크놀로지는 2015년 원자력연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질화붕소나노튜브 제조기술과 장치를 기반으로 김재우 박사가 창립한 연구원 창업기업이다.
질화붕소나노튜브는 현재 IT/IoT 분야에서 고휘도 LED, 5G 휴대전화 관련 모듈 및 전기자동차 등의 전기절연 방열소재, 플렉시블 센서나 에너지 하베스팅 압전소재로 쓰이고 있다.
또한, 경량, 내열, 중성자 차폐와 고강도 특성 등을 동시에 갖고 있어 항공우주 분야 소재로도 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박원석 원장은 “연구원 창업기업인 내일테크놀로지는 질화붕소나노튜브 신소재에 있어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질화붕소나노튜브를 방사선 분야에 접목하는 등 신소재 분야 산업의 확장에 함께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내일테크놀로지 김재우 대표이사는 “질화붕소나노튜브는 향후 미래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핵심 나노신소재로, 한국원자력연구원과의 협력을 통해 관련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성장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