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암모니아 수소 생산·정제 추출기 개발
수소충전소 및 무인비행체 등 활용 기대
2020-08-06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6일 수소·연료전지연구단 조영석·윤창원 박사팀이 암모니아로부터 수소를 추출하고 전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개발한 촉매와 분리막 소재를 결합해 암모니아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반응과 동시에 분리막으로 소군도의 수소를 분리해내는 추출기를 구현했다.
개발된 기술은 높은 순도의 수소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수소 정제 장치 없이 연료전지와 직접 연계해 소형 전력발생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암모니아 분해 반응과 동시에 수소를 분리함으로서 분해 반응 온도를 550도에서 450도까지 현저히 낮춰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수소 생산 속도를 기존 기술 대비 2배 이상 높인 것이 특징이다.
KIST 조영석 박사는 “본 기술을 기반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컴팩트한 수소 파워팩을 개발해 드론택시, 무인비행기, 선박 등의 이동수단에 적용하는 후속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KIST 윤창원 수소·연료전지연구단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순수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암모니아 기반 수소 추출·정제 원천기술로서, 가까운 미래에 암모니아를 활용한 국내 대용량 수소공급에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KIST 주요사업,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분리막 분야 권위지인 ‘Journal of Membrane Science’ (JCR 분야 상위 2.809%)에 온라인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