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 수학 분야 연구단 출범
복소기하학연구단장에 황준묵 고등과학원 교수 선임...해당 분야 입지적 인물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수학 분야 신규연구단인 복소기하학연구단을 대전 본원에 출범한다고 31일 밝혔다.
오는 1일 연구에 착수하는 연구단 단장에는 황준묵 고등과학원 교수가 선임됐다.
황 신임 단장은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 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수리과학연구소(MSRI)에서 연구했고, 노트르담대와 서울대 교수를 거쳐 1999년부터 고등과학원 교수를 역임하며 복소기하학과 대수기하학 연구에 매진해왔다.
황 단장은 독창적인 방법론을 개발해 기하학계의 여러 난제를 해결해왔다. 1999년 라자스펠트(Lazarsfeld) 예상을 증명하며 국제 수학계에 이름을 알렸고, 1997년부터 2005년에 걸쳐 균질공간의 변형불변성 증명을 완성했다.
이후 복소사교기하학에서의 마쯔시다(Matsushita) 문제 해결(2008년) 및 보빌(Beauville) 예상 증명(2013년) 등을 통해 세계적 수학자로 자리매김했으며 2019년에는 히르쇼비츠(Hirschowitz) 예상의 증명을 발표했는데, ‘방정식의 멱급수 해가 언제 수렴하는가’에 대한 이 예상은 1981년 히르쇼비츠가 제기한 이후 근 40년 간 진전이 없었던 문제였다.
이러한 업적을 바탕으로 황 단장은 한국과학상(2001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2006년), 호암상(2009년) 등을 수상했으며, 2010년 국가과학자로 선정됐다. 필즈상 시상식이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에서 한국인 최초로 2006년 초청강연(대수기하학 및 복소기하학 분과) 및 2014년 기조강연을 펼치기도 했다. 특히 수학 학술지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크렐레 저널(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을 비롯한 여러 저명 학술지의 편집인을 맡아 국제수학계의 리더 역할을 해오고 있다.
황 단장을 최종 선정한 평가위원회는 “황 단장은 서로 다른 수학 분야들의 교차점에서 최전선의 연구를 해왔고 그 업적은 전 세계 일류 대학의 저명한 석좌교수 수준”이라며 “특유의 독창성과 높은 인지도를 토대로 연구단을 이끈다면 전 세계 어느 연구소에 견줘도 뛰어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황 단장은 “지난 21년간 몸 담았던 고등과학원과는 색다른 분위기인 IBS에서 새로운 자극을 받으며 연구에 몰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부터 관심을 가지고 있던 몇 가지 미해결 문제에 도전하여 긴 역사를 가진 복소기하학 분야에서 우리 연구단만의 독자적인 색깔이 있는 연구로 세상에 공헌하고 싶다”고 밝혔다.
노도영 원장은 “황준묵 단장은 연구뿐만 아니라 국내 수학 분야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한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며 “복소기하학 연구단의 출범이 수학 공동체의 발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IBS는 이번 연구단 출범으로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융합, 수학 분야 31개 연구단을 구성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