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소재·바이오플라스틱 원료, 메탄서 생산 기술 개발
경희대 이은열 교수 연구팀, 메탄서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합성 전략 제시
메탄에서 식품소재와 바이오플라스틱 원료를 생산하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9일 경희대 이은열 교수 연구팀이 메탄에서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을 생합성하는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와 함께 온실가스 주요성분으로 꼽힌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에 따르면 20년 단위로 평가한 지구온난화지수 기준으로 메탄이 이산화탄소보다 온난화 효과가 84배 이상 강력하다.
연구팀은 최근 메탄올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메탄자화균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메탄 및 메탄올 대사, 시스템 생물학 및 합성생물학 접근법, 대사공학적 개량을 통한 화학물질 및 바이오 연료 생산을 위한 연구전략을 제시했다.
이런 전략을 토대로 연구팀은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동화할 수 있는 유형II 메탄자화균 개량에 성공했다.
이와 함께 식품 및 사료 소재인 라이신과 바이오 나일론의 원료인 카다베린을 생합성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천연가스, 셰일가스, 바이오가스 주성분으로 경제적 탄소자원인 메탄을 환경친화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기후변화대응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C1 가스리파이너리 사업의 지원으로 도출된 메탄자화균 플랫폼은 Cell Press에서 발행하는 Trends in Biotechnology 온라인판에 8월 19일 게재됐으며 메탄 유래 라이신 및 카다베린 생산은 영국화학회가 발간하는 Green Chemistry에 9월 1일 백커버(back cover) 논문으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