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해양플랜트硏,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추진한다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운영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9일 울산시, 자율운항선박 통합사업단과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구축·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세 기관은 ‘자율운항성능 성능실증센터’의 성공적인 구축·운영과 조선산업 발전을 위해 기술개발과 인프라 조성에 상호 협력하게 된다.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loT), 빅데이터, 센서 등 다양한 기술을 융합해 사람이 의사결정을 돕고 시스템이 적절한 판단을 내려 스스로 항해할 수 있는 선박을 의미하며, ‘스마트선박’이라 칭하기도 한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며 우리나라도 조선·해운 기술 경쟁력 확보와 고난이도·고부가가치 핵심기술 개발, 자율운항 시장 선점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총사업비 1603억 원을 투입해 4개 분야 13개 핵심기술을 개발·실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국책사업으로 결정했다.
이번 사업은 선박운항 관련 빅 데이터의 축적과 분석, 활용 기술확보로 ICT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자율운항 지능화 시스템 기술 개발을 통해 선박의 자동화·지능화 핵심 시스템 개발로 글로벌 자율운항선박 시장의 주도권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세 기관 중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이번 사업에서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 개발·시험·평가 및 검증을 위한 장비·시스템 구축 등 인프라 구축 업무를 수행하고 자율운항선박 시운전을 통해 축적된 시운전, 운항, 선박 성능 등에 대한 데이터를 해운사, 조선소, 조선기자재 업체 등에 제공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가 공동 운영하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은 사업을 총괄하고 제반사항을 지원한다.
또 울산시는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를 구축한다.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는 총 203억 원이 투입돼 부지 9384㎡, 연면적 1200㎡,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내년 10월 착공해 2022년 6월에 준공될 예정이다.
김부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장은 “스마트 융합으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자율운항선박은 미래 조선산업을 이끌어나갈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며 “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 인프라 구축 및 기술 개발 지원에 적극 협력해 국내 조선산업의 미래를 밝히는 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차세대 선박해양기술 연구역량 향상과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본 사업을 통해 울산이 자율운항선박의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고 시장 선점 및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