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철민 "코로나19 청년실업 직격탄"
지난 8월 기준 20대 실업급여 수혜자 전년 동월비 99.9% 증가 코로나 경제 영향 준 올해 4월부터 급증... 장 "특단 대책 시급"
코로나19 위기가 청년실업의 ‘직격탄’을 날렸다는 근거가 제시됐다. 실업급여를 받는 20대 이하 청년이 1년새 2배 이상 증가한 것.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이 고용노동부에서 받은 ‘2020년 8월 기준 20대 이하 구직급여 지급 현황’에 따르면, 2020년 8월 기준 실업급여 전체 수혜자는 전년 동월대비 49% 증가했다.
특히 지난 8월 기준 20대 이하 청년 수급자는 99.9% 증가, 코로나 위기가 청년층에 집중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것이 장 의원실의 설명이다.
전년 동월 대비 월별 증감률을 살펴보면, 코로나 19가 본격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준 올해 4월부터 20대 이하 청년들의 실업급여 수급률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했다.
4월에 48.3%로 전년 동월 대비 절반 가까이 수급자가 더 늘어났고 이후 5월은 70.7%, 6월 90.2%, 7월 92.0%, 8월 99.9%로 점점 증가했다.
다른 연령대는 2020년 8월 전년 동월 대비 실업급여 수급자가 30대는 39.5%, 40대 44.9%, 50대 41.3%, 60대 이상 4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 의원실은 20대 이하 실업급여 수혜자가 크게 증가한 원인으로 청년이 주로 고용된 노동시장이 대면 서비스 제공 업종인 점을 꼽았다.
코로나 19 장기화 및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대면 서비스 업종의 어려움이 확대되고 있는데 20대는 서비스 업종 고용보험 가입자 비율이 높다.
특히 숙박⸱음식 업종에서 20대 이하 청년 수급자가 전년 동월 대비 138.2% 증가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여행사업 등 사업지원서비스업에서 112.5%, 마트 등 도⸱소매업도 102.2%로 두 배 이상 수급자가 증가했다.
장철민 의원은 “코로나 19로 모든 연령층과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줬지만, 청년층이 집중적으로 위험에 노출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 의원은 “청년고용 문제를 지금 방치하면 이력현상, 실업 장기화로 이어져 국가경쟁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미래사회 인적자본을 잃는 것이기 때문에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청년고용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강구해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