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수입품 방사능 관리 컨트롤 타워 부재"
방사선 안전 총괄 원안위 수입물품 방사능 관련 정보 공유 받지 않아 조 "원안위, 정보 주기적 공유 후 수치에 따른 적절한 대책 내놔야"
2020-10-12 김거수 기자
수입 물품의 방사능 농도 관리가 다원화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돈 침대 사태로 방사능 관리의 중요성을 체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일원화 및 정보 공유에서 허점을 드러낸 것.
12일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받은 ‘수입 물품 방사능 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공산품 등은 관세청, 농수산축산물 및 가공식품은 식약처, 사료는 농림축산식품부, 석탄재 등 폐기물은 환경부, 목재는 산림청 등 소관 품목별로 방사능 검사를 하는 부처가 모두 달랐다.
문제는 방사선 안전관리 담당 주무부처인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이 같은 자료를 공유 받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방사선 안전관리 정책을 총괄해야 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정작 해당 물품들의 방사능 검출 결과 및 수입 , 반송 내역을 공유 받지 않고 있었다.
조승래 의원은 “작년 라돈침대 사태 이후 생활 물품 방사선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만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여러 수입화물들의 방사능 검사 결과도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고 지적했다.
이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국가 방사선 안전 관리 정책을 총괄하는 기관인 만큼 해당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공유받고 , 수치에 따른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