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1000곳 넘는 연구소기업 중 상장은 고작 3곳"

2015년 160곳에서 2020년 9월 1016곳으로 6배 이상 증가 매출액 10억 원 미만 기업이 대다수... 조 의원 "질적 성장 지원해야"

2020-10-20     김거수 기자

공공연구기관의 기술과 기업의 자본이 결합한 형태인 연구소기업은 누적 1000여 곳으로 급증하고 있지만, 상장사는 3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승래

20일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하 과기정통부)에서 받은 ‘최근 5년간 연구소기업 신규/누적 설립수’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연구소 기업은 2015년 기준 누적 160곳, 2020년 9월 기준 총 1016곳으로 6배 이상 급증했다.

기술분야 별로는 기타 분야를 제외하면 IT (정보통신) 분야가 누적 303곳으로 가장 많았고, BT (생명공학기술) 분야가 241곳으로 그 뒤를 이었다.

연구소기업은 정부출연 공공 연구기관에서 개발한 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해 자본금 20% 이상을 출자해 연구개발특구 내에 설립한 회사를 의미하며 세제 감면 등의 혜택이 있다.

누적 연구소 기업이 1000곳이 넘는 등 연구소기업의 양적 성장은 최근 괄목할만 하지만, 이 중 상장사는 3곳에 불과하고, 매출액 규모도 10억 미만 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 조 의원의 설명이다.

조승래 의원은“연구소기업의 신규 설립은 급증하고 있지만, 아직 성과 측면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며 “△연구소기업 성장 단계별로 차별적 지원 방안 마련 △기업 성장성 판단을 통해 경쟁력 있는 기업 집중 육성 △연구소기업 전용펀드 조성 확대 등 질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0년 9월 기준 1016개의 연구소기업 중 등록취소 기업은 112개로 특구 외 이전, 지분율 미달, 휴폐업 등이 취소 사유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설립 기업 중 약 10%는 취소되고 있다”며 “등록취소되는 연구소기업의 원인을 분석해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