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방사성 오염수 분석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이 27일 자동핵종분리장치를 이용한 해수 중 방사성 스트론륨 신속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트론륨은 원자로에서 생성되는 대표적 방사성물질로 연구원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방사성 오염수가 어떤 경로로 확산돼 가는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원자력연은 스트론튬-90(Sr-90)이 시간이 지나면 베타선을 방출하면서 이트륨-90(Y-90)으로 변해 18일이 지나면 스트론튬과 이트륨의 양이 같아지는 것에 착안했다.
이트륨-90을 흡착하는 수지(resin)와 자체 개발한 자동핵종분리장치(KXT-H, Kaeri eXtraction Technology-Hybrid)를 이용해 이트륨-90으로 스트론튬-90의 양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분석법을 개발한 것.
원자력연이 개발한 신속분석법을 활용하면 단 2일이면 자동으로 이트륨-90을 분리해 간접적으로 스트론튬-90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복잡한 공정을 여러 번 반복하는 침전법에 비해 신속분석법은 분석공정을 단순화하고 자동화하여 10배 빠르게 분석한다.
신속분석법으로 검출할 수 있는 최소 농도는 0.4m㏃/㎏(밀리베크렐퍼킬로그램)으로, 표본 1㎏ 중 0.4m㏃의 방사능까지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침전법의 최소검출가능농도(MDA)인 0.2m㏃/㎏과 유사한 정밀도이다.
연구를 이끈 김현철 박사는 “신속분석법은 빠르고 정확한데다 핵종을 흡착하는 수지에 따라 다른 핵종을 측정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고 있다”며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분석방법을 절차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자력연 박원석 원장은 “환경방사능 감시 기술은 우리 환경을 보전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기술”이라며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수준까지 기술을 고도화하는데 최선을 다하는 한편, 관계 기관이 협조를 요청하는 경우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