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작은 기지국 5G SW기술 개발
중소·중견기업 스몰셀 통신 장비 보급, 조기 상용화 기대
5G 작은 기지국(스몰셀) 통신장비에 적용하는 SW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에 따라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은 외산 SW가 아닌 우리 기술로 만든 SW를 통신장비에 적용해 상용화할 수 있게 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따르면 5G 통신 음영지역이나 인구 밀집 지역 등에서 전송용량을 키우며 체감 통신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초고주파 대역 지원 5G 스몰셀 SW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5G 스몰셀은 작은 반경을 지녀 초고주파 대역을 지원하기에 적합한 기지국으로 낮은 송신전력으로 높은 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설치가 쉽고 비용도 낮아 인프라 구축 핵심 장비로 꼽힌다.
ETRI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이 외산 SW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저렴하게 활용될 수 있어 우리나라 중소, 중견기업의 5G 스몰셀 국산화 및 상용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8GHz 5G 스몰셀이 상용화되면 고용량 데이터를 요구하는 비대면 동영상 학습, 화상회의, 원격의료, 온라인 콘서트 및 스포츠 행사 초실감 서비스,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5G 융합 분야에 활용될 전망이다.
ETRI는 2G에서 LTE에 이르기까지 이전 세대 이동통신들의 규격 발전에 따른 기술력을 꾸준히 확보해오며 이번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ETRI 김일규 이동통신연구본부장은 “밀리미터파 5G 스몰셀 기지국 SW 개발 성공으로 우리나라 중소·중견기업이 5G 스몰셀 보급을 선도하고 전 세계 5G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연구진은 시연에서 28GHz 대역에 할당된 800MHz 대역폭 중 일부인 100MHz 폭을 대상으로 여러 대의 상용 단말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음을 보였다. 새로 건설될 8차선 고속도로 중 한 개 차선을 대상으로 문제가 없는지 시험을 진행한 셈이다.
연구진은 향후 빔포밍 기술, 반송파 집성 기술등을 결합, 전체 800MHz 대역폭을 대상으로 통신 가능함을 선뵐 예정이며 차세대 규격에 맞는 지능형,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추가 개발, 5G 스몰셀 기지국을 상용 수준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