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TP 기능성 나노소재 사업화지원 센터 건립 무산위기

국비(56억)보다 30억 많은 90억에 설계돼 시와 대전테크노파크간 서로 책임공방

2010-10-27     김거수 기자

대전테크노파크(TP 원장 이진옥)가 추진중인 기능성 나노소재 사업화지원 센터가 국비(56억)보다 30억 많은 90억에 설계돼 대전시 전략산업계와 대전테크노파크간 서로 책임공방으로 오늘까지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는 제보가 접수돼 논란이 될 전망이다.

왜냐하면 오는 12월말까지 착공을 못하면 국비(56억)를 반납해야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대전테크노파크(TP 원장 이진옥)가 정부로 부터 국비56억원을 지원받아 기능성 나노소재 사업화지원 센터를 대덕테크노밸리 내 한밭대 부지에 총사업비 152억원(국비87억원 포함)을 투입해야 하지만 건축설계를 잘못하면서 착공조차 하지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파문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주무부서인 경제국 전략산업계와 대전테크노파크는 올 하반기부터 2011년까지 3년간 총 150억원을 들여 기능성 나노소재 사업화지원센터를 설립 대전 지역 4대 전략산업 중 하나인 첨단 부품 및 소재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이였다.

이와 관련 지난 7월 대전테크노파크 이진옥 원장은 언론을 통해"내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이 확정되면 이미 구축된 4대 전략산업분야 인프라 활용에다 국비 지원을 받게 돼 해당 공약사업 조기 가시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본지의 확인 결과 대전시는 S설계에서는 국비(56억)보다 30억이 더 많은 90억 원으로 설계를 하면서 30억원의 책임소재로 인해 대전시와 TP가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형국이다.

제보자에 따르면 "당초 설계를 국비확보 수준에서 했으면 착공조차 하지못하는 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며 "대전시와 테크노파크간의 업무협조가 안되면서 벌어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어 "이같은 사태가 오는 12월말까지 진척이 없다면 국비를 반납해야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개연성도 있어 향후 중앙정부로 부터 시정 전반에 걸쳐 신뢰성을 상실한다면 국비확보 노력이 더욱 어려워 질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