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오픈소스 테크데이 개최
출연연 개방형 연구문화 조성 및 연구성과 공개 문화 확산 오픈소스 통해 새로운 R&D 생태계 조성, 중기(中企)협력 도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오는 24일 오픈소스 테크데이를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선 ETRI 오픈소스 R&D 결과 공유를 통해 연구결과 학산을 도모하기 위해 국내 연구진이 보유하고 있던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관련 핵심 연구성과들이 전면 공개될 예정이다.
앞서 ETRI는 지난 8월 오픈소스 기반 R&D 플랫폼을 만들고 연구개발에 활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테크데이 행사는 ▲성공적인 오픈소스 커뮤니티 활동 경험기 ▲기조연설(Keynote) ▲출연연 오픈소스 R&D 활동 ▲오픈소스 프로젝트&커뮤니티 활동 등 주제로 진행된다.
프로그램에서는 ETRI 이윤근 인공지능연구소장을 비롯한 연구진들의 발표와 더불어 김석(노브레이크), 유저스틴(마이크로소프트), 안재석(SKT), 이지민(서울대), 신정규(레블업), 김성욱(네이버), 조형근(한국레드넷) 발표자들이 최근 오픈소스 동향 등 관련 발표를 진행한다.
ETRI 김명준 원장은 “ETRI는 최근 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지능화 종합연구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한 변신의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며 “오픈소스는 기존 연구개발 문화의 개방형 혁신을 실현하는 핵심 역량이자,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 중 하나”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향후 오픈소스 생태계를 전 정부출연연구원으로 확대토록 노력하여 더 많은 기관이 개방과 협력에 참여토록 유도할 방침이다.
특히, 최근 개정된 소프트웨어진흥법에 ‘국가연구개발결과 SW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기초 R&D 진흥’과 함께 ‘공개 SW 개발 방식 활성화’가 포함되면서 출연연으로서 취지에 부합하는 역할 및 활동으로 오픈소스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ETRI가 그동안 일반에 무료로 공개한 대표적인 오픈소스로는▲3차원 영상 데이터셋 ▲IoT 기기 위한 SW 개발용 프로그램 ▲시각 인공지능 기술 핵심 알고리즘 ▲구어체 엑소브레인 언어분석 API ▲정보중심 고품질 사물 연결기술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환경 SW 등이 있다. 또 오픈 API SW를 일반이 다운로드 받은 횟수는 3300만 건에 달한다.